반응형 전체 글1583 [51회] Vent & Drain 이 필요한 이유 P&ID보는 법 기초 [51회] Vent & Drain 이 필요한 이유 Vent 는 가스나 스팀과 같은 기체 상태의 유체를 배출하는 것을 말하며 Drain 은 액체 상태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뜻 합니다. 두 가지 용어가 갖고 있는 공통적인 목적은 장치류를 유지보수하기 위해 내부의 특정 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를 비운다는 것은 공정 장치류의 공정 자재(유체)를 제거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공정상에 사용되는 물질은 상의 종류에 따라 액체, 기체, 고체 형태일 수 있으며 이러한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방법을 필요로 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있는 기존의 펌프를 이용하여 액체를 외부로 제거하는 방법과 같이 기존에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내의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 P&ID 기초 교육자료 2023. 10. 21. [50회] 격리 배치의 이해 P&ID보는 법 기초 [50회] 격리 배치의 이해 플랜트 산업에서 격리란 특정 장비가 가동되고 있는 중에 연결되어있는 다른 장비와의 분리를 의미하며 고립의 개념으로 엔지니어링 단계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입니다. 유지보수 및 검사 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하며 장치류의 서로 차단할 경우에도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A 펌프와 B 펌프가 교체 운전을 하고 있다면 다른 펌프는 영향을 받지 않는 범위내에서 차단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러한 상태에서 B 펌프는 공정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수리 및 교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P&ID 상에서 장치류 및 배관의 격리가 필요할 때 밸브를 사용합니다. 대표적인 차단 밸브는 게이트 밸브와 볼 밸브가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고 격리 상태를 .. P&ID 기초 교육자료 2023. 10. 21. [49회] 압력 레귤레이터 표기의 이해 P&ID보는 법 기초 [49회] 레귤레이터 표기의 이해 Regulator 우리말로 속도, 압력, 온도와 같은 계측 매개변수의 조정장치를 총칭하는 단어입니다. 플랜트 기계 산업에서 레귤레이터는 폐쇄 루프 제어(Closed loop control) 에 해당하는 부속품으로 분류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폐쇄 루프 제어란 공정 제어 시스템의 목표인 프로세스를 최적화하기 위해 지정한 설계치에 맞추어 오퍼레이터에 의한 개입 없이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식을 말 합니다. 플랜트 산업에서는 컨트롤 밸브에 매개 변수인 압력, 온도, 유량 값을 접목시켜 표기 하며 이를 레귤레이터로 총칭합니다. 위의 그림은 Control valve or Regulator 의 Symbol & Legends 입니다. Legends 란에 보면 Reg.. P&ID 기초 교육자료 2023. 10. 21. [48회] Control valve 배열 방법 3가지 설명 P&ID보는 법 기초 [48회] 컨트롤 밸브 배열 방법 3가지 설명 컨트롤 밸브는 공정의 유량을 제어하는 주요 장치입니다. 모든 기자재는 고장 및 정비를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전제 조건하에 컨트롤 밸브 역시 고장 및 비상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설계 요건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컨트롤 밸브를 배치하는 설계 과정에서 비상 상황에 맞는 시스템의 제어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컨트롤 밸브 배열 방법 3가지 그림 1. 은 컨트롤 밸브 단일 배열을 도식화 한 것으로 가장 기본적인 구성이지만 반면에 가장 신뢰할 수 없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중앙에 제어 밸브를 기준으로 좌 우에 차단밸브를 설치하여 단순히 밸브를 교체 정비하기 위함으로 이는 제어 밸브가 고장, 교체등의 사유로 위치하지 않는다면 해당 배.. P&ID 기초 교육자료 2023. 10. 21. [47회] 밸브 연결방식의 도식화 방법 P&ID보는 법 기초 [47회] 밸브 연결 방식의 도식화 방법 P&ID 상에서 밸브의 연결 방식을 도식화할 때 두 가지 도식을 사용합니다. 플랜지와 플랜지를 접속구 형태로 가지고 있는 방식과 나사산 혹은 용접 방식을 접속구로 하는 방식입니다. 아래 그림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형식을 구분하고 있으며 이중 어떤 것이 플랜지 방식을 적용한 도식일까요? 정답은 우측 입니다. 밸브 심볼을 기준으로 좌/우에 작대기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관의 끝 부분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는 밸브의 연결 형식이 플랜지임을 뜻하며 연결 배관에 밸브 몸체의 플랜지와 배관 플랜지가 서로 맞대어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Valve without flange : 밸브 연결방식이 용접, 나사산 임을 뜻 함. Valve with flan.. P&ID 기초 교육자료 2023. 10. 21. [46회] 밸브 포지션 약어 정리 P&ID보는 법 기초 [46회] 밸브 포지션 약어의 이해 P&ID 안에서 밸브 포지션이란 밸브의 개폐 상태를 규정하는 것으로 정상상태와 비 정상상태로 규정할 수 있습니다. 정상 상태란 "의도한 포지션(1)" 을 의미하며 비 정상 상태(2)란 "의도하지 않은 포지션" 으로 정의합니다. (1) 의도한 상태란 밸브의 개/폐 포지션을 개방 혹은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것 (2) 의도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한 상태 즉 개방 혹은 폐쇄로 포지션을 지정하였으나 고장 등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폐쇄 혹은 개방, 현상태를 유지하는 것. 밸브는 배관내 유체의 흐름과 양을 조절하는 것으로 공정제어의 주요 요소 입니다. 밸브의 포지션을 사전에 결정하는 이유는 정상 상태를 정의하고 만약에 발생할 수 있는 밸브의 고장 및 기능 상실로 .. P&ID 기초 교육자료 2023. 10. 21. [45회] 액츄에이터 선정 기준 자료 P&ID보는 법 기초 [45회] 자동밸브 선정 기준 기초 밸브를 크게 수동 개폐 방식과 자동 개폐 방식 두 가지로 분류 합니다. 자동 밸브 범주에 포함되는 밸브 엑츄에이터 대표적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피스톤 액츄에이터 방식 솔레노이드 밸브 모터 오퍼레이트 액츄에이터 에어 오퍼레이트 액츄에이터 자동밸브는 기본적으로 자동으로 운전되지만 필요에 따라 외부에 핸들을 부착하여 수동으로 개폐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유량 조절 목적을 위한 Throttling valve 의 경우에는 자동으로 제어하는데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자동 밸브는 유량 제어와 시간을 제어하기 위해 적용합니다. 예를 들어 10 시간 운전 후 1시간 정지 명령과 같은 제어를 적용함과 동시에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구간에 설치하여 자동으로 밸브의.. P&ID 기초 교육자료 2023. 10. 21. [44회] 비규격 품목 표기 방법 P&ID보는 법 기초 [44회] 비 규격품목의 표기 방법 기성품이란 일정한 제작 기준에 의해 이미 만들어져 있는 품목을 뜻 합니다. P&ID 상에서 비 기성품목이 아닌 전문품목(Specialty item)어떠한 방식으로 식별하게 되는 것일까요? 플랜트는 장치류와 배관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설계할 때 공장 요구사항 (Spec.)에 의해 공정을 설계하게 됩니다. 각 엔지니어의 역할에 따라 해당 기자재를 선정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기계 엔지니어는 해당 아이템의 선정 및 설계에 관여하며 계측 엔지니어는 계장류의 선정 및 설계에 관여합니다. 그리고 배관 엔지니어는 배관 및 피팅에 대한 설계를 담당합니다. 이렇게 대표적인 엔지니어들의 설계사항을 P&ID 에 반영하게 되는 것이지요. P&ID 상에 배관 요.. P&ID 기초 교육자료 2023. 10. 20. [43회] Eccentric Reducer를 사용하는 이유 (편심레듀셔) P&ID보는 법 기초 [43회] Eccentric Reducer를 적용하는 이유 배관라인을 구성할 때 Reducer의 역할은 공칭 경이 서로 다른 배관을 접속할 때 사용합니다. 다시 말해 배관을 확장하거나 축소할 때 사용하며 이는 유량의 감소, 증가를 동반합니다. Concentric reducer (동심) : 아래 사진의 좌측 Eccentric reducer (편심) : 아래 사진의 우측 Reducer 는 동심형, 편심형 두 가지로 분류하며 사용 목적은 동일하나 공정에서 유체의 특성에 따라 편심형을 적용해야 하는 구간들이 발생합니다. Eccentric Reducer 의 적용 구간 A. Drain Line 아래 그림의 Pressure vessel 배수 구간 (Drain) 에 Eccentric reducer.. P&ID 기초 교육자료 2023. 10. 20. [42회] Tracing line 의 표기 P&ID보는 법 기초 [42회] Tracing line의 표기 Tracing line 은 Hot/Cold 로 구분하는데 Tracing의 기본적인 목적은 물과 같은 유체가 배관내에서 동결점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 이상의 온도를 유지하여 공정흐름의 연속성을 확보하는데 있습니다. Tracing 방법은 전기를 이용한 방법과 스팀을 이용한 방법으로 나뉘는데 전기 Tracing 작업은 스팀 을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 적용합니다. Tracing 작업 후에는 Tube와 같은 외피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Tracing 작업은 우리나라와 같이 겨울철 추운 지방에 설치되는 장치류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흔히 목격할 수 있습니다. 이중에서도 특히 Outdoor 설비, 즉 실외 설치 장치류의 경우 물과 같은 유체를 .. P&ID 기초 교육자료 2023. 10. 20. [41회] Capillary 튜브 배관 표기 방법 P&ID보는 법 기초 [41회] Capillary 튜브 배관 표기 P&ID 상에서 계장류의 도압배관을 표기할 때 일반적으로 실선을 사용합니다. Capillary Tubing은 실선에 X자 모양이 혼합으로 배열하여 식별이 가능하게 합니다. 케필러리(Capillary)란 우리말로 모세혈관을 뜻하며 외형적으로 일반적인 전계장용 튜빙 배관과는 달리 유연성(Flexible)을 갖고 있는 길다란 끈을 연상케 합니다. 아래 그림을 통해 확인해 보면 매개체와 표면 접촉을 위한 플랜지부와 트랜스미터,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Capillary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케필러리의 길이는 1.5~3 m 를 표준으로 하되, 요구사항에 맞추어 커스터마이징으로 길이를 늘이고, 줄일 수 있습니다. 캐필러리 튜브 배관 P&ID 표기 캐필러.. P&ID 기초 교육자료 2023. 10. 20. [40회] 압력 차압 측정 방식의 이해 P&ID보는 법 기초 [40회] 차압 측정 방법의 이해 부제 : Differential pressure level transmitter HP, LP 포지션의 이해 본문에서 다룰 내용은 압력 차이를 이용한 수위(Liquid level) 측정 방법인 Differential pressure level transmitter의 개념과 HP, LP의 설치 위치입니다. 현장에서 트랜스미터 도압을 위한 튜빙 작업 시 HP, LP 포트 방향을 반대로 연결하는 일이 드물게 발생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용어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액체(Liquid)의 수위를 측정하는 방식은 적용 계측 방법에 따라 총 6가지 방식을 취할 수 있습니다. 수위 측정 방식 6가지 수두압 방식 - Hydro-static (차압 측.. P&ID 기초 교육자료 2023. 10. 20. 이전 1 ··· 123 124 125 126 127 128 129 ··· 13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