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ID보는 법 기초
[47회]
밸브 연결 방식의 도식화 방법
P&ID 상에서 밸브의 연결 방식을 도식화할 때 두 가지 도식을 사용합니다.
플랜지와 플랜지를 접속구 형태로 가지고 있는 방식과 나사산 혹은 용접 방식을 접속구로 하는 방식입니다.
아래 그림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형식을 구분하고 있으며 이중 어떤 것이 플랜지 방식을 적용한 도식일까요?

정답은 우측 입니다. 밸브 심볼을 기준으로 좌/우에 작대기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관의 끝 부분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는 밸브의 연결 형식이 플랜지임을 뜻하며 연결 배관에 밸브 몸체의 플랜지와 배관 플랜지가 서로 맞대어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Valve without flange : 밸브 연결방식이 용접, 나사산 임을 뜻 함.
- Valve with flange : 밸브 연결방식이 플랜지임을 뜻 함.
밸브의 연결 방식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크기에 따라 나뉘어지며 아래와 같은 기준을 적용합니다.
혹은 공사별로 사양서 상에 명시되어 있으니 이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 밸브의 크기가 1-1/2 inch 보다 클 경우 플랜지를 적용
- 밸브의 크기가 1/1/2 inch 보다 작을 경우 용접, 소켓, 나사산 연결을 적용.

밸브 연결 방식 뿐만아니라 기타 장치류 및 접소구를 나누는 기준도 위와 동일한 방식을 적용합니다.
이를 통해 밸브, 혹은 장치류의 연결 방식을 도식화 기준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P&ID상에서 장치류를 포함한 부속품의 대략적인 크기를 가늠할 수 있고 연결 방식을 명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결 방식의 도식화 정보는 P&ID를 해독하는데 있어 가장 기초적인 정보라는 것을 기억해야 겠습니다.
Inside Insights (By Chandler)
반응형
'P&ID 기초 교육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49회] 압력 레귤레이터 표기의 이해 (0) | 2023.10.21 |
---|---|
[48회] Control valve 배열 방법 3가지 설명 (0) | 2023.10.21 |
[46회] 밸브 포지션 약어 정리 (0) | 2023.10.21 |
[45회] 액츄에이터 선정 기준 자료 (0) | 2023.10.21 |
[44회] 비규격 품목 표기 방법 (0) | 2023.10.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