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D 기초 교육자료

[49회] 압력 레귤레이터 표기의 이해

Chandleridle 2023. 10. 21.
반응형
 
P&ID보는 법 기초 

[49회]

레귤레이터 표기의 이해
 
Regulator 우리말로 속도, 압력, 온도와 같은 계측 매개변수의 조정장치를 총칭하는 단어입니다. 
 
플랜트 기계 산업에서 레귤레이터는 폐쇄 루프 제어(Closed loop control) 에 해당하는 부속품으로 분류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폐쇄 루프 제어란 공정 제어 시스템의 목표인 프로세스를 최적화하기 위해 지정한 설계치에 맞추어 오퍼레이터에 의한 개입 없이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식을 말 합니다. 
 
플랜트 산업에서는 컨트롤 밸브에 매개 변수인 압력, 온도, 유량 값을 접목시켜 표기 하며 이를 레귤레이터로 총칭합니다. 
 
 
위의 그림은 Control valve or Regulator 의 Symbol & Legends 입니다. Legends 란에 보면 Regulator 라는 문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형식의 심볼은 기계적인 측면에서는 컨트롤 밸브에 가깝지만 제어 관점에서 보았을 때는 Regulator 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계측 변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배관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 (컨트롤 밸브) 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하나의 레귤레이터로 구성됩니다. 
 
Regulator 는 매개 변수에 따라 표기 방법에 차이가 있습니다. 
 
  • CV는 Regulator 를 뜻 합니다. 여기에 유량, 압력, 온도, 레벨 붙여서 아래와 같이 표기 합니다. 
  • FCV - Flow Regulator : 컨트롤 밸브를 이용하여 유량 제어
  • PCV - Pressure Regulator : 컨트롤 밸브를 이용하여 압력 제어
  • TCV - Temperature Regulator : 컨트롤 밸브를 이용하여 온도 제어
  • LCV - Level Regulator : 컨트롤 밸브를 이용하여 수위 제어
여기서 주의 할 것은 CV 가 Control valve 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CV는 Regulator 를 지칭하는 것이고 여기에 매개 변수의 앞 글자를 따서 *CV 로 위와 같이 레귤레이터로 분류한다는 것 입니다. 
 
계측 제어 관점에서 보았을 때 공정 파라메터를 자동으로 제어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컨트롤 밸브와 센서, 컨트롤러를 하나의 레귤레이터로 구성한 폐쇄 루프 제어를 특정 공간에 배치해야 합니다. 
 
이러한 경우에 위의 도식과 같은 형태로 P&ID상에 표기하고 제어 관련 엔지니어로 하여금 계측 변수가 어떠한 것인지를 확인하게 되는 것 입니다. 
 
*Air filter 레귤레이터와 용어에 혼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내용정리
 
 
일반적인 의미에서 레귤레이터란 유량, 압력과 같은 매개 변수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장치를 총칭합니다. 
 
플랜트 산업에서 P&ID 상에서 컨트롤 밸브를 도식화 하고 Tag 를 부착할 때  Legends 상에 Regulator 로 표기하는 이유는 계측 제어 측면에서 목표하는 폐쇄 루프 제어를 통한 자동 제어를 구현하기 때문입니다. 
 
CV는 Regulator 를 뜻하며 유량(F), 압력(P), 온도(T), 수위(L) 앞 글자를 붙여 FCV, PCV, TCV, LCV 로 Tagging 한다는 것을 기억해야겠습니다. 
 
Inside Insights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