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설계 자료&계산서

덕트 설계(전원선,통신선,공압선) 설계 적용방법

Chandleridle 2023. 10. 24.

목차

반응형

전원선, 통신선, 공압선등 여러 유틸리티 선들을 정리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덕트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현업에서 설계 업무 과정 중 덕트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전기선이나 공압선과 같은 유틸리티 선들의 정리를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기성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정리해야 하는 선의 양이 많고 장거리일 경우에는 설계를 통해 Route 및 높이, 분기점 등을 지정해야 합니다. 또한 양이 많기 때문에 Tag 부착 등을 통한 시공 관리 또한 더해져야 하죠. 덕트 설계는 한번 세팅 해 놓으면 도면상에서 늘이고 줄이고의 반복이기 때문에 초반 셋팅이 매우 중요합니다.

덕트 설계(전원선,통신선,공압선) 설계 적용방법



덕트의 내부 구성

덕트 설계(전원선,통신선,공압선) 설계 적용방법
<덕트 내부 구성>

플랜트 같은 대형 공장에서의 덕트 구성은 일반적으로 위와 같이 구성됩니다. 전원선, 통신선, 유틸리티로 나뉘어 지는데 이는 글쓴이가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 특정 유틸리티 라인을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습니다.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전원선의 공간이 가장 크다는 것과 통신선 그다음으로 유틸리티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아무래도 전원선이 가장 굵고 단면적을 기준으로 부피가 가장 크기 때문이죠. 덕트는 강판을 절곡해서 제작하는 데 냉간/열간 강판을 사용합니다. 여기서 잠깐 살펴보면 냉간 강판은 SPCC 를 예로 들 수 있고 열간 강판은 SS400 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냉간 강판이 아무래도 열간 강판 보다 비용적인 부분이 더 비싸기 때문에 발주처의 요구사항이나 사양서 상에 냉간 강판에 대한 언급이 없고, 구조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 보다 저렴한 열간 강판을 사용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는 것이 좋습니다.

덕트 설계(전원선,통신선,공압선) 설계 적용방법



위의 그림에서는 덕트 Cover 를 부착한 상태 입니다.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지면에 가까울 수록 Cover 를 부착해야 합니다.


덕트 설계(전원선,통신선,공압선) 설계 적용방법


지지하는 방식은 Support 를 사용한 방식과 다릿발을 Post 처럼 새워서 지지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벽에 고정할 때는 지지형식을 바닥에 고정할 때는 Post 를 새우는 방식을 적용합니다. Cover와 Duct 의 두께는 1.6t~2.3t 내에서 내용물의 중량과 지지 방식을 고려해서 결정해야 합니다. 그림 상에서는 표현되어 있지 않지만 Cover 를 덕트에 고정하는 방식은 고리 방식과 볼트 체결 방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또한 발주처의 요구사항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저렴하게 하기 위해서는 볼트 방식을 신속한 개폐 및 유지보수 빈도수가 많은 경우는 커버 상면 양 측단에 고리를 걸어 잠그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덕트 설계(전원선,통신선,공압선) 설계 적용방법


덕트 설계 시에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덕트의 폭과 커버 내측 폭 설계입니다. 강판을 사용하다 보니 후처리로 도장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도막 두께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Cover 를 여닫을 때 닫히지 않거나 반대로 열리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죠. 따라서 Cover 의 내 폭은 항상 덕트의 외 폭보다 2~3mm 정도 여유를 두고 제작하는 것을 염두에 둬야 합니다.

덕트 설계(전원선,통신선,공압선) 설계 적용방법


덕트 설계 방법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냉간, 열간 강판을 적용할 수 있지만, 비용적인 측면을 고려한다면 발주처의 요구사항이나 사양서에 언급 사항이 없을 경우 열강 강판을 적용
  • 덕트의 두께는 하중을 고려하되 가능한 1.6t~2.3t을 적용.
  • 덕트 커버의 내측은 덕트 몸체 외측보다 2~3mm 정도 키워야 여닫을 때 문제가 없음



Inside Insight였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