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설계 자료&계산서

기계 가공품 표면처리 방법 6가지

Chandleridle 2023. 10. 24.

목차

반응형

특정 소재를 제외한 대부분의 가공품은 가공 후 후처리를 하게 됩니다. 후처리는 크게 열처리(1), 표면처리(2), 도장으로 나뉘는데 초보 설계자의 입장에서는 어떠한 기준과 방법을 적용해야 하는지 막막한 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도장을 제외한 열처리와 표면처리 방법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열처리는 무엇이고 표면처리는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요? 그리고 이러한 구분을 결정짓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열처리와 표면처리의 용어에 대한 정의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A. 후처리(Surface Treatment) 용어 정리

(1) 열처리 (Heat treating): 소재에 물리적 특정 방법을 적용하여 화학적으로 성질을 변형시켜 소재의 성질을 개선하는 것을 총칭하는 단어입니다. 
 
먼저 짤막이 살펴보면 소재의 강도나 경도를 줄이고 잔류 응력을 제거하거나 입자의 크기를 다듬는 것을 의미합니다. 열처리의 의미가 갖고 있는 용어를 한 줄로 정의하면 "기계적 성질을 향상" 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에 또 하나의 궁금점이 생깁니다. 기계적 성질은 무엇이고 왜 향상 시켜야 하는 것일까요? 기계적 성질은 익히 알고 있고 있듯이 가소성이나 취성등 소재 자체가 가지고 있는 성질외 대표적으로 강도와 강성, 탄성을 떠올릴 수 있습니다. 
 
기계적 성질의 향상의 목표는 다양할 수 있지만 강과 같은 소재의 가공후 열처리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궁극적 목적은 경도(hardness:단단한 정도) 와 내마모성의 향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열처리의 목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열처리란 특정 소재의 가공후 특정 방법을 통한 화학적 성질의 변형을 통한 기계적 성질 특히 경도나 내마모성을 향상 시키는 것"
기계 가공품 표면처리 방법 6가지
<Heat Treating - 출처 위키미디어>


By Goodwin Steel Castings - Flickr: Castings fresh from the heat treatment furnace, CC BY-SA 2.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16070140


(2) 표면처리 (Surface treatment): 표면처리란 소재의 가공 후 표면에 아주 얇게 특정 재료를 도포하여 피막을 형성하여 코팅하는 작업을 총칭하는 단어입니다. 기계 가공품의 표면처리는 크게 화성처리와 도금, 아노다이징으로 분류 할 수 있습니다. 
 
표면처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은 소재의 내부식성을 향상하고 미관을 좋게 하며 표면을 보호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표면처리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대표적으로 떠올릴 수 있는 방법하면 무엇이 있을까요? 바로 아연도금입니다. 
 
아래 그림처럼 표면에 아연을 입히는 방식으로 가장 저렴하면서 보편화 되어 있는 방법의 하나 입니다. 투박하게 가공된 소재도 도금처리를 하게 되면 매끈해지는 것을 누구나 알 수 있는 사실입니다. 표면처리는 가공 소재나 목적에 따라 적용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기계 가공품 표면처리 방법 6가지
<아연도금 - Hotdip galvanizing - 출처 Bing 상업적으로 무료 공유 및 사용>


 
B. 후처리 (Surface Treatment) 사용 분야

앞서 기술한 후처리의 사용 분야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요? 플라스틱을 포함한 금속을 다루는 모든 분야에 제한적이지 않고 폭넓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위에서 살펴본 표면처리의 용어 두 가지 (열처리, 도금) 의 큰 특징을 조합해 보면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고 미관을 좋게 한다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목적을 바탕으로 사용 분야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후처리 사용 분야
  • 자동차 산업
  • 반도체 (자동화 기계)
  • 귀금속
  • 건축용 자재
  • 가구 (인테리어 제품)
이 중에서도 가장 소요가 많은 곳은 자동차 산업입니다.




C. 표면처리 방법 (도금)

기계 가공품에 대한 도금 방법은 소재에 따라서 적용 방법을 분류하게 됩니다. 일반적인 강 재질의 경우는 크롬도금과 아연도금을, 알루미늄은 아노다이징을 적용합니다. 
 
기본적으로 도금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공통적인 결과치는 내부식성 및 내구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합니다.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1. 아연도금 (Zinc Plating)

주로 건축용 부자재인 볼트나 너트, 스크류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기계 가공품에 가장 폭 넓게 적용되는 방식입니다. 크롬도금과, 니켈도금 대비 비용이 저렴하고 내부식성과 표면 경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만 내열성이 취약하기 때문에 100도씨 미만의 부속품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장시간 사용할 경우 누렇게 변질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원 발주처에서 적용을 금지하는 경우가 종종 생기기도 합니다.

2. 크롬도금 (Chromium Plating), 경질 크롬도금 (Hard Chromium Plating)

연질(Soft)과 경질(Hard) 두 가지가 있습니다. 스테인리스를 포함한 강 재질에 적용이 가능한 표면처리 방식인 크롬도금은 내마모성 및 경도가 매우 우수하고 아래 사진처럼 외관을 우수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용 온도 또한 400도씨를 상회하기 때문에 폭넓게 적용이 가능합니다. SUJ 재질이나 SM45C와 같은 소재의 움직임이 있는 구간, 혹은 경도가 필요한 구간에 적용하여 소재의 슬라이딩이나 마모성에 대한 우수한 대책입니다.
기계 가공품 표면처리 방법 6가지
<Chromium Plating - 출처 위키미디어>


 
3. 니켈 도금 (Nickel Plating)

니켈 도금하면 동전을 가장 먼저 떠올릴 수 있습니다. 내열성(300도씨) 및 내 부식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내마모성을 필요로 하는 부품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4. 동도금 (Copper Plating), 금도금 (Gold Plating)

동도금, 금도금은 귀금속류를 포함한 장식류에 적용하지만, 소재가 갖고 있는 가장 큰 특징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전도성이 우수하다는 데 있습니다. 금은 전도성이 가장 높은 재질중에 하나 입니다. 전기전자 부품에서 높은 전류의 흐름이 있어야 하는 도금 부위에 적용합니다.

5. 아노다이징 (Anodising), 경질 아노다이징 (Hard anodising)

알루미늄 소재의 후처리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내부식성 및 경도를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을 갖고 있습니다. 
 
경질 아노다이징을 적용할 경우 경도는 최대 600 까지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을 통해 가공품을 생산한 경우에는 연질 아노다이징을 적용하지만 경도를 요하는 구간 (슬라이딩이나, 마찰)에는 경질 아노다이징을 적용합니다.

6. 인산염 피막처리

인산염 피막처리는 비용이 저렴하고 내열성이 우수하지만, 경도가 약하기 때문에 운동이 있는 구간의 가공품에는 적용을 피해야 합니다.


내용 정리

기계요소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가공품의 표면처리를 어떠한 것을 사용해야 하는지 망설여 질 때가 있습니다. 산업 분야별, 각 회사별 적용하는 기준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선정기준을 몇 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 알루미늄 소재의 가공품은 연질(Soft), 경질(Hard) 아노다이징 만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 높은 경도가 필요한 구간을 제외한 일반 부품의 경우 연질을 적용. 
 
  • 인산염 피막처리는 비용이 가장 저렴하고 내열성이 우수함. 다만 경도가 약하기 때문에 운동 (슬라이딩, 마찰) 이 있는 구간에는 적합하지 않으므로 고정부품 (밑 판이나, Suppor, Rib 등의 구조물로 적합함)
 
  • 아연도금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으로 구조물 (볼트,너트) 및 일반 기계 가공품에 적용이 가능하나 높은 경도 및 내열성을 요하는 구간에서의 적용을 피해야 하며 단점으로 색이 변색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음. 
 
  • 크롬도금은 연질(Soft), 경질(Hard)로 구분되며 아연도금의 적용이 불가할 경우 연질 크롬도금을 고려하며, 운동이 있는 구간의 마찰과, 일정 수준 이상의 경도를 요할 경우는 경질 크롬도금을 적용함. 
 
  • 니켈도금은 비용이 위의 도금 방식중 가장 고가이므로 산성 물질에 의한 내식성 및 경도, 내열성을 요하는 구간에 적용을 고려해야 함. 
 
Inside Insight 였습니다.
 

INSIDE INSIGHTS ENCYCLOPEDIA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