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D 를 구성하는 5대 요소는 무엇이 있을까요? 가장 눈에 들어오는 장치류와 배관, 그리고 Control 을 구성하는 계장류, 마지막으로 신호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장치류 - 공정과 기계와 관련
- 계장류 - 제어와 관련
- 배관류(& Valve) - 배관
- 장치류(Equipment) - 기계 장치와 같은 장치류는 Symbol & Legends 로 명확히 표현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말이죠. 기본적으로 Equipment 는 공정이나 기계파트에서 결정하고 이에 대한 Tag No. 를 별도로 부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공사 사양서 Numbering 절차서에 따라 해당 구역내의 설비에 No. 를 부여 합니다. 엔지니어링 및 식별, 운영 과정 전반에 걸쳐 반드시 필요한 정보입니다.
![[25회] Symbol & Legends 구성요소 [25회] Symbol & Legends 구성요소](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 계장류 (Instrument & Control) - 아래 그림에서는 I&C의 Symbol & Legends 예시를 살펴 볼 수 있습니다. 그림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각 해당 계장류에 대해서는 풍선(Balloon) 안에 약어로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장치류는 형상을 어느정도 반영하는 반면에 계장류는 풍선안에 약어로 표기하는 것으로 간략히 표기합니다. Tag No. 또한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며 이는 Engineering 과정에서 Instrument list, data sheet 를 작성하고 향후에 운영 및 유지보수 전반에 걸쳐 확인되어져야 하는 사항입니다.
![[25회] Symbol & Legends 구성요소 [25회] Symbol & Legends 구성요소](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 배관 및 밸브 (Piping & Valves) : 배관 및 밸브 또한 라인번호와 밸브 Tag No. 를 부여하여 식별하고 List 로 관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Control valve 와 같은 제어 목적의 Valve 에는 Balloon 을 부착하여 명시합니다. 배관에는 별도의 라인 번호를 배관 Numbering 절차를 따라 부여하게 됩니다. 각각의 No. 및 Numbering 은 해당 공사별 번호 부여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25회] Symbol & Legends 구성요소 [25회] Symbol & Legends 구성요소](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모르면 계속 모르고 알면 별거없는 P&ID를 구성하는 Symbol & Legends 의 구성요소에 대한 내용을 살펴 보았습니다.
블로그 인기글
P&ID 보는 법 공부하는 법
오늘의 궁금한 플랜트 이야기 주제는 "P&ID 보는 법 공부하는 법" 입니다. A. P&ID의 정의 P&ID란 Process Industry를 대표하는 플랜트 산업의 대표적 엔지니어링 도면으로 공정을 구성하는 장치와 Piping, Instruments의 관계(Interrelationship)를 도식화하고 도표화한 것을 말합니다. Piping and Instrumentation diagram 의 줄임말이며, PID라고 읽거나 표기하기도 합니다. 엔지니어링 문서 중에서 중요한 설계 문서로써, 플랜트 엔지니어링의 가장 기초이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잘 아시다시피 P&ID의 일관성 없는 기호와 형식은 혼란스러울 수 있으며 해독 과정에서 잘못된 판단은 P&ID에 포함된 정보를 오해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 P.....
chandleridle.tistory.com
[32회] P&ID 도면 약어 정리
P&ID보는법 기초 [45회] P&ID 도면 약어 모음 P&ID는 최대한 많은 양의 정보를 담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일환으로 사용 빈도수가 많거나 관행적으로 사용된 여러 용어들을 약어로 도면상에 표기 하는 방법으로 불필요한 공간을 없앨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Restriction Orifice (오리피스) 는 배관 내에서 자주 사용되는 배관 요소중의 하나로 써 줄여서 RO 로 표기합니다. 이러식으로 줄임말을 사용합니다. 도면의 배관이나 기기, 경계선과 같은 모든 구간에서 사용되는데 약어의 원 뜻을 알아야만 P&ID 의 정보를 읽을 수 있습니다. P&ID 약어는 기본적으로 General Abbreviation 과 Utility Service Abbreviation 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Genera.....
chandleridle.tistory.com
'P&ID 기초 교육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8회] 공급범위의 구분 (Scope of supply) (0) | 2023.10.19 |
---|---|
[27회] P&ID Tag No. 한번에 교체하기 (0) | 2023.10.19 |
[24회] 배관선 신호선의 중첩시 표기방법 3가지 (0) | 2023.10.19 |
[23회] 도면 기기 배치와 Scale (0) | 2023.10.19 |
[22회] PFD & P&ID의 차이점 (0) | 2023.10.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