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회] 공급범위의 구분 (Scope of supply) [28회] 공급범위의 구분 (Scope of supply)](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공급범위란 요구사항에 의한 필요한 기자재나 물품의 양을 포함합니다.
"본 내용은 EPC와 공급업체를 기준으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공급업체 입장에서 공급범위를 과하게 잡으면 전체 금액이 올라가고, 부족하게 산정할 경우 금액은 내려가지만, 덜컥 발주처와 계약이 되고 공사를 수행할 때 애를 먹을 수 있습니다.
![[28회] 공급범위의 구분 (Scope of supply) [28회] 공급범위의 구분 (Scope of supply)](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P&ID를 기준으로 공급범위를 임의로 작성해 보겠습니다.
공급범위
A) Mechanical (기계)
- Pressure Vessel : 1 EA
- Electrical Heater : 1 EA
- Piping 1 lot
- Valve 1 lot
B) Electrical (전기)
- Control Panel : 1EA
C) Instrument (계측기)
- Temperature Transmitter : 2EA
- Level Gauge : 1EA
- Level Transmitter : 1EA
위와 같은 기자재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현업에서는 문서로 공급범위를 표기할 때 최대한 상세하게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Symbol & Legends로 표기할 수 있는 모든 기자재는 P&ID 상에 기재하는 것이 좋습니다.
P&ID 상에서 공급범위 확인하기
P&ID 상에서 공급범위를 표기할 때 Boundary(경계선)를 사용합니다.
"현업에서 사용되는 방식도 동일하거나 유사합니다"
![[28회] 공급범위의 구분 (Scope of supply) [28회] 공급범위의 구분 (Scope of supply)](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노란색 경계선을 기준으로 공급범위가 명시되었습니다. 위의 그림 우측 상단에 빨간색으로 표기한 LT021 은 공급범위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더욱 명확히 하기 위해서 마크를 추가하여 공급범위를 구분합니다. 아래 그림을 통해서 예시하겠습니다.
- Scope of supply
- By others
![[28회] 공급범위의 구분 (Scope of supply) [28회] 공급범위의 구분 (Scope of supply)](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누가 보더라도 공급범위가 명확하게 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P&ID 공급범위 표기 시에 주의점
P&ID 상에 경계선을 표기하여 공급범위를 결정하고 Issue 되는 순간 계약, 공사가 끝나는 시점까지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 이제 와서 빼달라고 하면 우스워집니다"
경계선(Boundary) P&ID 상에 설정할 때 한번쯤은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점을 기억해야 겠습니다.
블로그 인기글
[32회] P&ID 도면 약어 정리
P&ID보는법 기초 [45회] P&ID 도면 약어 모음 P&ID는 최대한 많은 양의 정보를 담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일환으로 사용 빈도수가 많거나 관행적으로 사용된 여러 용어들을 약어로 도면상에 표기 하는 방법으로 불필요한 공간을 없앨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Restriction Orifice (오리피스) 는 배관 내에서 자주 사용되는 배관 요소중의 하나로 써 줄여서 RO 로 표기합니다. 이러식으로 줄임말을 사용합니다. 도면의 배관이나 기기, 경계선과 같은 모든 구간에서 사용되는데 약어의 원 뜻을 알아야만 P&ID 의 정보를 읽을 수 있습니다. P&ID 약어는 기본적으로 General Abbreviation 과 Utility Service Abbreviation 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Genera.....
chandleridle.tistory.com
플랜트 길라잡이 3 - 플랜트 주요 용어 정리
플랜트 길라잡이 플랜트 주요 용어 정리 by Inside Insights 플랜트 산업 관련 업무를 진행하는 과정 중 다양한 용어들을 접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FAT, FAC, LOI와 같이 약어를 주로 사용하는데 이 중에서 FAT는 Factory Acceptance Test를 줄여서 사용하는 약어로써 길게 나열된 용어를 간략하게 약어로 표기합니다. FAT 에 대한 설명을 덧붙이면 공장에서 기자재에 대한 납품 전 검사를 실시하는 제품 검사의 하나를 뜻 하는 용어입니다. 이렇듯 현업 에서는 다양한 용어들을 사용하며 자주 접하는 용어들에 대한 내용을 사전에 알고 있다는 것은 보다 생산성 있고 효율적인 업무를 가능토록 합니다. 본문에서는 플랜트 산업 관련 사회 초년생들이 알아야 할 사용 빈도수가 많은 약어들을.....
chandleridle.tistory.com
'P&ID 기초 교육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회] 계측 변수의 이해 (0) | 2023.10.20 |
---|---|
[29회] 계장류 심볼 35가지 설명 (0) | 2023.10.19 |
[27회] P&ID Tag No. 한번에 교체하기 (0) | 2023.10.19 |
[25회] Symbol & Legends 구성요소 (0) | 2023.10.19 |
[24회] 배관선 신호선의 중첩시 표기방법 3가지 (0) | 2023.10.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