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엔지니어링 기술자료564 Gas Standard와 Normal 단위의 차이점 이상기체 방정식을 이용한 가스 상태의 체적량 기준을 정할 때 EPC와 같은 상위 엔지니어링 그룹에서는 용량 단위를 Standard(STP.) 와 Normal(NTP) 두 가지 기준 중에서 한가지를 적용하여 명시합니다. 두 가지 기준 모두 표준 단위로 사용하지만 이를 scf (Standard cubic feet)와 같은 단위 길이당 체적으로 환산하였을 때 수치적으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계산상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두 가지 단위의 표기법과 기준, 차이점 이를 SCF로 환산하였을 때 어떠한 차이점이 있을까요? 1. Standard 와 Normal 기준의 이해 A. Standard Condition ☞ Standard Condition 에서는 약어로 stp.를 사용하며 가스 상태가 15°C 온도 상태에.. 엔지니어링 기술자료 2023. 11. 9. 임계 온도와 임계 압력의 이해 임계 온도와 임계 압력의 이해 낮은 임계 온도와 임계 압력을 갖고 있는 가스는 액화시킬 수 있지만 높은 온도 상태에 있는 가스의 경우 상대적으로 이를 액화 시킬 수 있는 높은 압력을 필요로 합니다. 하지만 특정 가스 상태가 가지고 있는 온도가 일정 값을 초과한 상태에 있을 때 아무리 높은 압력을 가하더라도 액화되지 않는 온도를 임계 온도라 정의합니다. 대표적 표준물질인 물의 임계 온도는 274.14 °C 임계 압력은 22.09 Mpa 입니다. 다시 말해 274.14 °C 를 초과한 상태에서는 아무리 압력을 높이더라도 물은 더이상 액체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됩니다.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모든 물질은 고체, 액체, 기체 세 가지 상(Phase)으로 존재합니다. 대표적인 표준 상을 아래와 같이 예시할 수.. 엔지니어링 기술자료 2023. 11. 9. API 510 압력용기의 수리, 개조, 등급 변경에 대한 지침 압력용기의 수리 개조 지침에 대한 개요 통상적으로 15 psig 를 초과하는 압력용기는 ASME 기준에 따라 설계 제작 검사 과정을 거쳐 필요시 code 인증 과정을 거칩니다. ASME Stamp를 획득했다는 것은 ASME 설계 기준을 충족시켰다는 것을 뜻 합니다. 이러한 과정은 AI (ASME Inspector) 의 승인을 받아 진행하며 이 때 적지 않은 비용과 시간, 노력을 필요로 합니다. 한번 설계 제조된 압력 용기는 변동사항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지만 수리 개조, 개선 작업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ASME 기준에 맞추어 제작된 용기의 용접을 통한 수리, 개조, 개선 작업시 재 승인을 받아야 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다시 말해 장치류에 용접을 통해 변형을 가할 시에는 ASME 의 .. 엔지니어링 기술자료 2023. 11. 8. Residence Time 의 정의와 기준 Residence Time의 정의와 기준 (부제 : Retention time) Residence 는 우리말로 "체류"를 뜻합니다. 이는 Separator 설계 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 중의 하나로서 액체 내 1 종 이상 다중 성분의 물질을 분리할 때 "체류 시간" 은 분류된 물질의 품질(농도)을 결정하는 설계 요소로 작용합니다. 대표적인 사례로 원유를 본 공정에 투입하기 전에 오일, 기체, 물로 분리하는 공정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Residence Time 증가가 제작 비용이 미치는 영향 용기 안의 "체류 시간" 이 길어진다는 것은 Vessel 의 처리 용량이 커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Vessel 의 전체적인 크기 증가로 이어집니다. 다시 말해 부적절하게 긴 체류 시간은 불필요한 용량 증가를.. 엔지니어링 기술자료 2023. 11. 8. API RP 578 요약 정리 API RP 578 내용 요약 정리 48개 항목입니다. 요약 내용 뒤의 괄호한 번호는 스펙 Sr. no. 를 뜻 합니다. API 578 provides guidelines for a material assurance system to verify all alloy materials [1.0] The material verification program specified by API 578 covers only pressure-containing components [1.0] An alloy material is any metallic material that contains alloying elements that are added to improve either mechanical properties .. 엔지니어링 기술자료 2023. 11. 8. Calibration 정의 Calibration 이란 사전적으로 한계 및 정확도, 불확실성에서 미지수를 기준 표준과 비교하는 과정으로 정의합니다. 보다 쉽게 설명하면 알려진 규격에 따라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장치를 조정하는 일련의 행위로 정의하며 모니터의 색과 감마, 휘도 값을 보정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영상기기와 같은 장치류의 색상을 보정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교정(Calibration)은 일반적으로 기기의 동작을 측정하여 측정된 동작을 표준과 비교, 해당 표준에 따라 동작 및 계측하도록 기기를 조정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Calibration 의 목적은 사전적으로 지정한 환경 조건 내에서 측정 정확도가 전체 측정 범위에 걸쳐 기준점에서의 오차 범위를 최소화 하고 정밀하게 유지하는 것으로 정의합니다. 다시 말해 .. 엔지니어링 기술자료 2023. 11. 8. Refrigeration 냉장 의 정의 Refrigeration의 정의 Refrigeration 은 우리말로 냉동, 냉장을 뜻합니다. 냉장의 원리는 아주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습니다. 추운 지방이나 높은 산의 얼음과 눈을 이용해서 음식이 상하지 않게 보관하거나 계곡의 흐르는 물에 과일을 담가 시원하게 먹을 수 있는 것에 냉장의 원리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냉장 원리를 이용할 수 있는 자연적인 자원의 활용도는 지역 및 온도 조건에 따라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으나 오늘날 냉장 기술의 발달은 산업, 가정, 연구를 포함한 거의 모든 분야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과학원리의 하나입니다. 냉장이란 사전적으로 "일종의 냉각 과정으로 분류 할 수 있으며 이는 특정 물질 내 열을 제거하거나 혹은 빼앗아 지정한 온도보다 낮은 저온 범위 내로 물질.. 엔지니어링 기술자료 2023. 11. 8. 화학 반응 실험결과 40가지 화학 반응은 물질의 주어진 온도와 농도에서 개별적인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반응속도가 빨라진다는 것은 원자들 사이의 결합을 끊는데 필요한 활성화 에너지에 도달하기 위해 더 많은 열 에너지를 필요로 하여 더 많은 열 에너지가 존재하기 때문이며 이 때 온도 변화와 색상, 가스를 방출하거나 침전물을 생성합니다. 화학반응 40가지 마그네슘 막대는 공기중에 노출되면 연기와 열을 방출하며 흰 연기와 함께 타버립니다. 숯이 산소와 반응하여 연소하면 열과 함께 백광을 발산합니다. 유황은 산소와 반응하여 톡 쏘는 냄새와 함께 보라빛 불꽃 발산합니다. 전기 선이 산소와 반응하여 연소할 때 격렬하게 반응하며 고체 물질을 생성합니다. 가열시험관 내에서 중탄산 암모늄은 톡 쏘는 냄새와 함께 방울이 생성되는 기체를 형성합니다. .. 엔지니어링 기술자료 2023. 11. 8. 가연성 한계의 이해 (Explosive Limits -LEL & UEL) 제목 : 가연성 한계의 이해 부제 : Explosive Limits - LEL & UEL 플랜트 산업에서와같이 폭발성, 유독성 가스를 사용하는 공정 내에서 용기와 같은 장치류의 유지 보수나 점검 시 내부의 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환기나 Purge 과정을 거칩니다. 왜냐하면 유독성 가스를 제거하는 목적도 있지만 공기가 대기중에 일정 이상 농도를 이상이 되지 않을 경우 폭발성 대기 조건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를 사전에 완화, 제거해야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부연설명하자면 이러한 행위의 주된 목적은 산소내 발화성 물질의 농도를 낮춰 발화점 이하로 떨어뜨려 폭발 위험성을 낮추기 위함입니다. 가연성 한계를 이해하기 위해선 LEL 과 UEL 의 용어를 알아야 합니다. LEL - Lower explosive lim.. 엔지니어링 기술자료 2023. 11. 8. 대기 배출 저감장치가 필요한 이유 발전소, 화학공장, 정유소와 같이 대형 플랜트 설비에서는 여러 가지 경로와 원인을 통해 전 공정에서 Air emission (대기 배출) 가스가 발생합니다. 발생 경로는 국한적이지 않으며 밸브나 피팅, 펌프, 열교환기, 타워, 플랜지 연결부와 같은 여러 요소에서 잠재적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개별 누출 양은 적을 수 있지만. 전체 누출의 전체 합은 대기 배출 요소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Air emission 발생 경로 플랜트 설비 공정 내에서 발생하는 연료의 연소 및 처리 시 발생하는 대기 배출 요소 정유소, 화학공장 물질 처리 시 발생하는 배출 요소 저장 탱크, 열교환기, 타워, Vessel 등 장치류의 Drain, Vent 시 발생 밸브, 플랜지, 피팅의 Leak.. 엔지니어링 기술자료 2023. 11. 8. Fouling Factor의 정의와 이해 Fouling은 사전적으로 유로의 표면적에 발생한 이물질과 퇴적물의 축적으로 정의합니다. 기본적인 발생 메커니즘은 침전물의 형성 - 압착 - 증착 - 스케일 형성 순으로 나타나며 이는 배관과 같이 유체의 운송 공정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됩니다. 장치류의 내부 표면 및 열교환기 튜브에 발생하는 것이 대표적이며 원치 않은 물질의 축적으로써 이로 인한 공정에 미치는 주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량의 저하 차압 증가로 인한 열전달 능력 저하 부식 및 오염 부분적 온도 상승 (고온) 열교환기와 같은 장치류의 경우 파울링에 의해 유체의 흐름 및 열 전달 능력을 감소시키고 압력 손실 (△P) 의 증가로 인해 전체적인 성능을 떨어뜨리게 됩니다. 따라서 열교환기 업체에서는 엔지니어링 단계에서 필수적으로 냉각수의.. 엔지니어링 기술자료 2023. 11. 8. 예비비(Contingency) 용어 정의와 이해 예비비(Contingency) 용어 정의와 이해 Contingency란 우리말로 만일의 사태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상업 관련 용어로 “예비비”로 통용되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비비는 사전적으로 예측할 수 없는 초과지출에 대한 경비 제원을 사전에 확보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예산을 편성할 때 전체 추정 비용의 일정%를 추가하는 것으로 산정할 수 있습니다. 플랜트 산업에서 기자재의 예상 비용을 산출할 때 프로젝트 사양에 준하여 장치류를 선정(Sizing)하고, 필요한 품목을 합산하여 전체 금액을 산출하는데 Engineering order made 제품군에 대해서는 100% 정확한 금액이 아닌 추정치로 판단할 수밖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플랜트 기자재의 견적 작업은 아직 만들어지지 않은 설비의 전체 비용을 예상하.. 엔지니어링 기술자료 2023. 11. 8. 이전 1 ··· 39 40 41 42 43 44 45 ··· 4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