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 보면 별거 아닌 현장 안전 Tip 시간입니다.
플랜트 산업에서 사용하는 압력 용기는 고온 고압의 유체를 사용하는 공정 설비로 많이 사용합니다. 산업 용기 제작시에는 ASME Code와 같이 대표적인 기준을 적용하거나, 국내의 경우 산안, KOGAS와 같은 기관의 안전 기준에 준하는 검사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Pressure Vessel 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내부에 압력이 걸리는 설비이고 이러한 Performance를 충족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Hydrostatic Test(수압검사) 실시하여 사전에 안전성 평가를 통해 제조상태를 확인하게 됩니다. 오늘의 안전 Tip 은 바로 수압검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관련 내용입니다.
수압검사 절차를 간단히 설명하면 특정 압력용기에 모든 Nozzle 과 Valve 를 Closed 상태를 유지합니다. 이후에 외부에서 압력용기 내부로 유체(일반적으로 물)를 가압하여 검사기준을 충족하는 압력상태를 만든 후 Holding 상태를 유지합니다. Holding 상태를 유지한 후 일정 시간 (최소 30분이상) 이 지난 이후 유출(Leakage)을 확인하여 제작상태를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것으로 비파괴검사 방법의 하나입니다.
일반적인 Pressure Vessel (열교환기 등) 는 아래의 항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Main Line Nozzle
- Drain
- Vent
- Manhole
- Spare Nozzle
- Plug

수압검사는 제품 출고 전 지정장소(일반적으로 제조사 공장) 에서 실시하며 야드나 공장 내부에서 실시합니다. 위의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여러개의 노즐이 각기 방향성을 가지고 있고 현장 설치 상태가 아닌 즉 배관과 배관이 연결된 상태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수압검사를 하기위한 준비 과정인 Isolation (차단) 을 실시합니다. Blind flange 나 Plug, Cap, Valve의 상태를 Closed 상태로 만듭니다.

오늘의 현장 안전 Tip 하나는 수압검사시에 "노즐 방향 앞에 되도록 서 있지 말 것!" 입니다. 특히나 고압으로 수압검사를 할 때 플러그나 노즐 방향에 직선 방향으로 가까이 있는 것은 위험에 노출된 상태를 말 합니다. 위의 그림에서 글쓴이가 의도하는 것은 Isolation 상태의 Plug 가 튀어 나가는 것을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Plug 나 Nozzle 과 같이 차단 요소가 튀어나갈 수 있는 원인은 나사산의 불량, Reinforcement 내 기포, 용접불량 등 요인이 있을 수 있으나 사전에 알 수 없기 때문에 더욱이 주의해야 합니다. 수압을 7kg/cm2g 이상 근거리에서 맞으면 상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플러그나 단단한 질량의 물체가 수압으로 인해 튀어 나갈 경우는 F=ma 이므로 더 큰일이 날 수도 있습니다. 압력용기는 10kg/cm2g 이상으로 하는 것들이 많기 때문에 스스로 더욱 더 주의를 갖을 필요가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겠습니다.
이에 대한 근거자료로 API RP 572 Section 10.8.2 에서는 "수압, 공압을 이용한 압력용기의 테스트 중에는 진행이 완료된 이후 압력을 해제하기 전까지 해당 영역에서 떨어진 안전 지역에 기다리는 것이 관행적으로 안전하다" 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미 알고 있는 사람은 다 알고 있는 현장 안전 Tip 하나였습니다.
블로그 인기글
플랜트 길라잡이 3 - 플랜트 주요 용어 정리
플랜트 길라잡이 플랜트 주요 용어 정리 by Inside Insights 플랜트 산업 관련 업무를 진행하는 과정 중 다양한 용어들을 접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FAT, FAC, LOI와 같이 약어를 주로 사용하는데 이 중에서 FAT는 Factory Acceptance Test를 줄여서 사용하는 약어로써 길게 나열된 용어를 간략하게 약어로 표기합니다. FAT 에 대한 설명을 덧붙이면 공장에서 기자재에 대한 납품 전 검사를 실시하는 제품 검사의 하나를 뜻 하는 용어입니다. 이렇듯 현업 에서는 다양한 용어들을 사용하며 자주 접하는 용어들에 대한 내용을 사전에 알고 있다는 것은 보다 생산성 있고 효율적인 업무를 가능토록 합니다. 본문에서는 플랜트 산업 관련 사회 초년생들이 알아야 할 사용 빈도수가 많은 약어들을.....
chandleridle.tistory.com
[13화] P&ID 약어모음 I
[Section 1.] Symbol & Legend 총 정리 - P&ID Identification Letters 1 of 2 Symbol & Legend 총 정리 첫 번째 시간입니다. (관련내용을 두번에 나누어 포스팅 하였습니다) Identification Letter는 한글로 직역하면 식별문자 입니다. 예를 들어 Pressure Transmitter(압력전송계) 는 P&ID 상에 표기할 때는 PT 라고 표기를 합니다. 이처럼 P&ID의 Instrumentation나 Logic, PLC Programming에 Tag Prefix를 사용하는데 각각의 Instrument, 전계장 Prefix Tag는 고유의 Function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림 1은 Function Identification Lette.....
chandleridle.tistory.com
'Daily 1분 엔지니어링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지니어링 노트 Q&A (1) 컨트롤 밸브의 연속방정식과 질량보존의 법칙 관계 (0) | 2023.11.17 |
---|---|
사전 Contracting process와 회사소개서가 중요한 이유 (0) | 2023.11.13 |
지구의 영역 4가지 (0) | 2023.11.13 |
스케일이 배관에 미치는 영향 (0) | 2023.11.11 |
보일러 배관 산화 & 스케일 (0) | 2023.1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