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공차
일반공차란 도면상에 가공에 필요한 공차를 지정하지 않은 일반적인 구간에 적용하는 공차를 말합니다. 구성요소의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 치수관리를 하는데 이를 위해 공차관리를 실시합니다. 이는 엄격하게 관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허용 공차 범위가 너무 많을 경우 가공 비용(제조 비용)이 상승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공차 관리가 덜 중요하다고 판단되어지는 구간에 있어서 일반 공차를 적용합니다.
엔지니어링 관행적으로 허용 오차 범위내에서 모든 기계가 기능을 발휘하는 데 문제가 없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일반 공차는 앞서 기술한 정밀 공차 관리 범위 외, 일반적으로 적용해야 할 가공면에 대한 치수 공차를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하며 도면상에 명시된 공차 외 가공치수는 일반 공차를 적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가공을 의뢰하거나 업무를 이관할 때 이러한 부분을 사전에 전달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해야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xrUaE/btszhugCxXS/uApP5Y20SkTSArkbsd1LKK/img.jpg)
일반공차 범위는 기계류와 산업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공 기계와 같은 고정밀을 필요하는 장비의 경우에는 더욱더 엄격히 관리 될 수밖에 없습니다. DIN EN 22768 에서는 일반적으로 적용해야 할 공차에 대한 내용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일반공차표 참고문헌 DIN EN 22768
선형 길이에 대한 일반공차
길이 (mm)
|
일반공차(mm)
|
0.5~3.0
|
±0.1
|
3.0~6.0
|
±0.1
|
6.0~30
|
±0.2
|
30~120
|
±0.3
|
120~400
|
±0.5
|
400~1000
|
±0.8
|
1000~2000
|
±1.2
|
2000~4000
|
±2.0
|
모따기 & 모깎기 일반공차
치수(mm)
|
일반공차(mm)
|
0.5~3.0
|
±0.2
|
3.0~6.0
|
±0.5
|
6.0 이상
|
±1.0
|
진직도 & 평탄도 일반공차
길이 (mm)
|
Tolerance Class
|
||
H
|
K
|
L
|
|
0~10
|
±0.02
|
±0.05
|
±0.1
|
10~30
|
±0.05
|
±0.1
|
±0.2
|
30~100
|
±0.1
|
±0.2
|
±0.4
|
100~300
|
±0.2
|
±0.4
|
±0.8
|
300~1000
|
±0.3
|
±0.6
|
±1.2
|
1000~3000
|
±0.4
|
±0.8
|
±1.6
|
직각도
길이(mm)
|
Tolerance Class
|
||
H
|
K
|
L
|
|
0~100
|
±0.2
|
±0.4
|
±0.6
|
100~300
|
±0.3
|
±0.4
|
±1.0
|
300~1000
|
±0.4
|
±0.8
|
±1.5
|
1000~3000
|
±0.5
|
±0.8
|
±2.0
|
INSIDE INSIGHTS ENCYCLOPEDIA
반응형
'기계설계 자료&계산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계도면 기초 (삼각법 도면 배치) (1) | 2023.10.31 |
---|---|
커플링의 종류 9가지 (0) | 2023.10.31 |
레이저 가공품의 개요와 일반 가공품 차이점 (0) | 2023.10.29 |
카운터 싱크 & 카운터 보어 정의와 표기법 (0) | 2023.10.29 |
도면번호 넘버링 방법 (0) | 2023.10.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