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회]
부제 Temporary and permanent 차이점
스트레이너란 배관과 배관사이, 장치류 전단에 설치하여 유체 내 미립자를 포집하는 역할을 하는 배관 부속품을 총칭하는 단어입니다. 스트레이너는 크게 2가지로 분류 합니다.
- Temporary : 배관 설치시 초기에 임시적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주로 공장 준공 단계에서 볼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설치 기간은 4~7 주정도이며 영구적인 Strainer 와는 달리 일정 기간 이후에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배관내 용접 비드, 미립자가 정상운전 기간 이후에 제거되는 추정시점을 의미합니다.
- P&ID 상에는 Temporary strainer 라고 표기를 병행하여 공장 완공 후 이를 확인해서 임시 스트레이너를 제거하게 됩니다. Temporary Strainer 를 설치하는 또다른 목적은 유체내 미립자에 의한 기자재 Damage(손상이나 막힘등)가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 입니다. Temporary Strainer 는 Cone type, Flat type 이 있으며 Mesh 망으로 구성될 때 압력 손실 값이 크지 않기 때문에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배관내 미립자가 충분히 제거되었다고 판단 된다면 압력 손실을 낮추기 위해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펌프, 열교환기 전단이나 Vessel 류의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구간에 적용합니다.
- Permanent : 영구적으로 사용하는 스트레이너로서 Temporary 처럼 일정 기간 사용 후 제거하는 것이 아닌 장기간 사용을 목적으로 합니다. Tee type, Bucket type 이 이에 해당합니다.
스트레이너를 선정할 때 제조사 별 해당 모델에 대한 Pressure drop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esh 망이 촘촘해 질 수록 압력손실 값은 증가합니다.
![[36회] 스트레이너 심볼의 이해와 주의사항 [36회] 스트레이너 심볼의 이해와 주의사항](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Temporary type strainer
- Cone type strainer : 외형적 가장 큰 특징은 꼬깔 모양으로 되어 있습니다. 스트레이너 끈 부분에 이를 쉽게 제거하기 위한 돌출부가 있으며 형식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Mesh 망을 촘촘하게 하여 영구적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 Flat type strainer : 외형적으로 평평한 판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타공판 처럼 구멍을 이용하기도 하며 Mesh 망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압력 손실 값이 적다는 장점이 있어 임시(Temporary) 용으로 적합한 형태의 스트레이너 입니다.
Permanent type strainer
- Tee type strainer : 플랜지 형식의 상부 개패 구가 있으며 내부의 스트레이너를 분해하여 청소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Permanent type 의 대표적인 형식이며 Y type 대비 대구경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 Bucket type strainer : 바구니 모양처럼 둥그런 Casing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내부의 망을 제거하기 쉽게 탈착 부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Single 과 Dual 형식으로 나뉘는데 Dual 형식으로 할 경우 상부에 밸브가 장착되어 유지보수 시 유체의 흐름을 By-pass, 혹은 정지상태 없이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Single type 을 2개 사용해서 배관을 분기하거나 추가적인 설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추가적인 장점이 있습니다.
- Y type strainer :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스트레이너로 입니다. 소 구경 배관에 적용합니다. 위의 그림인 Symbol & legends에 Y-type strainer 후단에 Bleed valve 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이는 배관내 기체, 미립자를 배출할 때 사용합니다.
블로그 인기글
[32회] P&ID 도면 약어 정리
P&ID보는법 기초 [45회] P&ID 도면 약어 모음 P&ID는 최대한 많은 양의 정보를 담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일환으로 사용 빈도수가 많거나 관행적으로 사용된 여러 용어들을 약어로 도면상에 표기 하는 방법으로 불필요한 공간을 없앨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Restriction Orifice (오리피스) 는 배관 내에서 자주 사용되는 배관 요소중의 하나로 써 줄여서 RO 로 표기합니다. 이러식으로 줄임말을 사용합니다. 도면의 배관이나 기기, 경계선과 같은 모든 구간에서 사용되는데 약어의 원 뜻을 알아야만 P&ID 의 정보를 읽을 수 있습니다. P&ID 약어는 기본적으로 General Abbreviation 과 Utility Service Abbreviation 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Genera.....
chandleridle.tistory.com
P&ID 보는 법 공부하는 법
오늘의 궁금한 플랜트 이야기 주제는 "P&ID 보는 법 공부하는 법" 입니다. A. P&ID의 정의 P&ID란 Process Industry를 대표하는 플랜트 산업의 대표적 엔지니어링 도면으로 공정을 구성하는 장치와 Piping, Instruments의 관계(Interrelationship)를 도식화하고 도표화한 것을 말합니다. Piping and Instrumentation diagram 의 줄임말이며, PID라고 읽거나 표기하기도 합니다. 엔지니어링 문서 중에서 중요한 설계 문서로써, 플랜트 엔지니어링의 가장 기초이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잘 아시다시피 P&ID의 일관성 없는 기호와 형식은 혼란스러울 수 있으며 해독 과정에서 잘못된 판단은 P&ID에 포함된 정보를 오해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 P.....
chandleridle.tistory.com
'P&ID 기초 교육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38회] 레벨게이지 종류와 표기방법 (0) | 2023.10.20 |
---|---|
[37회] Water pocket (Gas pocket) 설명 (0) | 2023.10.20 |
[35회] 배관 경사 - Piping slope 의 이해 (0) | 2023.10.20 |
[34회] 배관 역류 방지 (0) | 2023.10.20 |
[33회] 공정 전후 도면확인 방법 (0) | 2023.10.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