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D 기초 교육자료

[34회] 배관 역류 방지

Chandleridle 2023. 10. 20.

목차

반응형
P&ID보는법 기초 

[34회]

배관 역류 방지


공정상에서 유체의 흐름은 일정하게 방향성을 갖고 이동합니다. 

 
이러한 유체의 흐름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역류방지밸브(Check valve) 를 부착하거나, 배관의 특정 구간을 "U" type 으로 구성하는등의 방법을 사용하나 가장 기초적이며 경제적인 방법은 공극 (Air gap) 을 형성하는 것으로 배관의 위치 선정으로 역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아래 P&ID 예시(그림 1.)는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배관의 In/out 을 표기한 것으로 좌측(Water in) 에서 유체가 유입되고 우측(Water out) 으로 나가는 중간에 저장탱크를 배치한 것입니다.
[34회] 배관 역류 방지
그림 1.


 
위의 그림을 통해서 간단히 살펴 볼 수 있는 것은 좌측과 우측의 배관 입/출구의 높이가 동일 선상에있는 것이 아닌 일정 높이 이상 차이가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기기의 공극(Air gap) 형성이라 하며 앞서 기술한 가장 기초적인 역류 방지 배관 구성을 의미합니다.
[34회] 배관 역류 방지
그림 2.


 
그림 2. 에서 노란색 구간으로 표기된 구간을 공극이라 합니다. 
 
유체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려는 방향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유체가 좌측(Water in)에서 들어온 이후에 우측 (Water out) 의 낮은 곳으로 흐른 이후에는 다시 Water in 쪽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은 물과 같은 액체의 역류를 방지하는데 가장 완벽한 시스템 구성을 제시하지만 출구 쪽에 이상현상 (동결, 밸브 고장) 등이 발생하였을 때는 역류를 기본적으로 방지할 수 없다는 점에서 추가적인 제어나 물리적인 장치를 필요하면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해야겠습니다.

가스의 경우

가스의 경우에는 어떻게 역류를 방지할 수 있을까요? 위의 내용을 응용해서 생각하면 예를 들어 특정 가스의 비중이 공기보다 가볍고 응축되지 않는다고 가정하였을 때 배관의 구성을 아래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역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34회] 배관 역류 방지
그림 3.




내용정리

  • 액체와 같은 유체의 흐름은 방향성(높은 곳에서 낮은 곳)을 갖고 있음
 
  • 역류를 방지할 때 이러한 방향성을 이용해서 배관의 입/출구의 높이를 고려
 
  • 입구측 높이는 출구쪽 배관보다 높게 배치함
 
  • 이를 공극(Air gap) 배열 이라 하며, 액체의 경우 가장 완벽한 역류 방지를 구현함. 
 
  • 다만 출구쪽에 동결이나 밸브 고장 등의 원인이 발생 시 수위가 올라가면서 역류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시 관련 사항에 대한 안전장치 (Level gauge, Sensor) 를 고려해야 함.

INSIDE INSIGHTS ENCYCLOPEDIA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