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회]
"No pocket" 은 공정 P&ID 에서 종종 접할 수 있는 문구로서 아래 그림의 예시와 같이 배관 라인 위에 직접 표기하거나 Note 란에 별도 표기하는 방법을 통해 P&ID 를 보는 이로 하여금 Pocket 을 형성하면 안된다는 경고성 의미와 함께 배관의 경로[Route]를 고려하고 이를 실제 제작에 반영하기 위해 필요한 표기 방법입니다.
![[37회] Water pocket (Gas pocket) 설명 [37회] Water pocket (Gas pocket) 설명](https://blog.kakaocdn.net/dn/5UKpt/btsyNu1Kh6a/gJfWgOgmG2D84ETDvxFkvk/img.png)
Pocket 표기 방식
- 직접 표기 방법 : P&ID 배관라인 위에 표기
- 간접 표기 방법 : Note 에 추가
- 액체 : No liquid pocket
- 가스 : No Gas pocket
배관 설계시 공정라인의 곳곳에 응축과 축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No Pocket 문구가 가지고 있는 의미는 명확합니다. 말 그대로 Gas나 Liquid 의 유체 흐름에 정체가 있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말 합니다.
EPC와 같은 상위 엔지니어 그룹에서는 공정상의 No Pocket 구간을 사전에 확인하여 배관 공사를 실시하는 도급업체 혹은 기자재 협력사에 이를 전달해야 합니다.
Pocket 의 발생원인
아래 그림은 Pocket 을 예시한 것으로 No pocket 은 수직 하방 또는 직경사와 같은 Route 를 가지고 있습니다. Vapor(Gas) 와 Liquid pocket 은 상방향 과 하방향 U 형태의 배관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Vapor pocket : 상=>하 ∩-Route
- Liquid pocket : 상=>하 ∪-Route
![[37회] Water pocket (Gas pocket) 설명 [37회] Water pocket (Gas pocket) 설명](https://blog.kakaocdn.net/dn/7u4CP/btsyPyvKMvz/jL9LdAsbM8vA5uwk9QAXq1/img.jpg)
배관내 Gas, Liquid 를 추출하기 위한 Vent, Bleed 와는 다른 개념으로 도관내 압력이 높을 때는 유체가 밀어내는 압력에 의해 응축, 정체 현상이 없지만 유체의 이송이 정지상태에 도달했을 때, 도관내 흐름방향으로 압력이 0 이 되었을 때 ∩ or ∪ 도관에서 Pocket 을 형성하게 됩니다.
- 유체의 정체 구간이 발생하는 경우 Pocket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고려.
- 정체 구간이 발생, 예상되는 구간의 Piping Route ∩ or ∪ 를 가능한 배제.
- 정체 구간 Pocket 구간에는 응축, 적체된 유체를 배출할 수 있게 Vent, Bleed valve 를 고려.
- 유체 도관은 수직하방으로 설계 (예 : 배수라인)
- 가스 도관은 수직상방으로 설계 (예 : 스팀라인)
블로그 인기글
질소 Purge 란 무엇이며 주요 사용 목적은 무엇일까요?
질소 Purge 란 무엇이며 주요 사용목적은 무엇인가라는 주제를 가지고 포스팅을 진행하겠습니다. 플랜트 산업 관련 엔지니어링 과정 중에 간혹 혹은 자주 듣는 용어가 중에 하나가 바로 Purge입니다. Purge 란 우리말로 제거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요 단어 앞에다가 질소나 Inert gas 단어를 붙여서 하나의 용어로 사용됩니다. N2 purge = 질소 퍼지 Inert gas purge = 불활성 가스 퍼지 Purging의 정의 질소 고유의 특성으로 석유 및 가스, 육상 해상 파이프라인 산업에서 여러 가지 효과적인 용도로 사용합니다. 위험한 상황과 환경에서 건조하고 불황성인 질소는 가동 중지와 시동 작업 전에 여러 가지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 내는 가스입니다. 퍼.....
chandleridle.tistory.com
[13화] P&ID 약어모음 I
[Section 1.] Symbol & Legend 총 정리 - P&ID Identification Letters 1 of 2 Symbol & Legend 총 정리 첫 번째 시간입니다. (관련내용을 두번에 나누어 포스팅 하였습니다) Identification Letter는 한글로 직역하면 식별문자 입니다. 예를 들어 Pressure Transmitter(압력전송계) 는 P&ID 상에 표기할 때는 PT 라고 표기를 합니다. 이처럼 P&ID의 Instrumentation나 Logic, PLC Programming에 Tag Prefix를 사용하는데 각각의 Instrument, 전계장 Prefix Tag는 고유의 Function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림 1은 Function Identification Lette.....
chandleridle.tistory.com
'P&ID 기초 교육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39회] 지점 지정방식과 연속 측정 방식 (0) | 2023.10.20 |
---|---|
[38회] 레벨게이지 종류와 표기방법 (0) | 2023.10.20 |
[36회] 스트레이너 심볼의 이해와 주의사항 (0) | 2023.10.20 |
[35회] 배관 경사 - Piping slope 의 이해 (0) | 2023.10.20 |
[34회] 배관 역류 방지 (0) | 2023.10.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