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ID 보는 법 기초 Part.8 Forced Draft Fan in CDU.
오늘은 Crude distillation unit의 Forced Draft Fan의 P&ID 기본적인 구성 및 원리를 살펴 보겠습니다.
Crude distillation unit은 줄임말로 CDU라고 표기하며 우리말로는 상압증류공정을 말합니다. 정유공정에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공정이며, 증류 원리를 적용하여 비등점에 의한 물리적 상(phase) 분리 및 후속공정으로 이송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아래 그림 Figure 1-1 은 CDU공정의 하나의 구간인 Air preheater section의 Flow Scheme 을 나타낸 것입니다.
Forced draft fans은 일반적으로 공기를 혼합공기 공급 시스템을 통해서 Furnace 로 강제적으로 밀어 넣어줌으로써 연료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 입니다.
Figure 1-1 의 Air preheater section 에서는
Forced draft fan A 는 Air preheater 에 공기연소를 위한 공기 공급.
Forced draft fan B 는 Crude charge heater 의 연소를 위한 공기 공급.
그럼 단계적으로 P&ID를 살펴보겠습니다.
STEP 1. - Figure 1-2 Forced Draft FAN
그림 1-2 과 같이 Forced Draft FAN 001-A/B 를 배치하였습니다.
그림 1-3 과 같이 Forced Draft FAN 001-A/B 의 장치의 Main process line 을 추가하였습니다.
Forced draft fan A => Air Preheater
Forced draft fan B => Crude Charge Heater
STEP 3. - Figure 1-4 Motor Start/stop interlock
그림 1-4와 같이 Motor start/stop의 Interlock을 표기하였습니다.
HS : 팬 (팬,펌프등) 수동 조작 스위치, - 3가지 조작 시작,정지,자동조작을 말함.
Interlock : 조건이 만족하여야 하거나 만족하지 않는 경우를 Logic 으로 구성하여 연결성있게 동작하게 하여 기계를 작동하는 로직 구성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서 시스템 Pressure 가 High 조건을 만족하고 팬 모터의 Overload 가 정상상태일때 모터가 동작이 가능하게 Interlock Logic 을 구성하여 모터가 HS Start/stop을 통해 동작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부분을 좀더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Logic diagram에 대한 지식이 필요합니다. 다음에 기회가 되면 글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STEP 4. - Figure 1-5 TT-201 Control FY.
STEP 4. - Figure 1-5 TT-201 Control FY.
TT201 은 Field mount temperature transmitter 입니다. 이는 Flow indicating controller FIC 100에 전기신호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FIC 100 Shared control/display device 에 설치 됩니다.
FIC 100의 출력은 FY로 전송 됩니다.
이 전기 신호는 Access 할 수 없거나 Panel 에 설치되는 전기신호 선입니다.
이번에는 팬의 온도를 Interlock 조건을 걸어 보겠습니다. TT201 과 TAH100을 Interlock 조건으로 형성하였습니다.
TAH : 온도조건의 Alarm 조건, 만약 팬의 온도가 정상온도 조건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Alarm 및 Interlock 조건
이 Interlock 조건은 Motor 구동의 Interlock 과 Logic 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AH가 정상상태 이고 Motor 이 Overload 가 정상상태 일때 Motor 구동
Crude Distillation Unit 의 일부분인 Forced draft FAN 의 부분 P&ID 를 통해서 심볼 및 기능에 대해서 살펴 보았습니다.
이상 궁금한 플랜트 이야기였습니다.
반응형
'P&ID 기초 교육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회] 저장탱크 P&ID 기본 배열 (0) | 2023.10.18 |
---|---|
[10회] 열교환기 P&ID 기본 배열의 이해 (0) | 2023.10.18 |
[8회] P&ID Tag 설명의 이해 (0) | 2023.10.18 |
[7회] Overriding process control의 이해 (1) | 2023.10.18 |
[6회] 반응기 온도 제어 (3) | 2023.10.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