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 plant 종류와 국내 발전소 현황 그리고 전망
전기가 없는 현대 사회는 상상할 수 없습니다. 스마트 폰 에서부터 전기 자동차까지 이미 우리 생활에 가장 밀접한 에너지인 전기. 전기를 생산하는 플랜트의 종류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국내 발전소의 현황과 전망을 예측해 보겠습니다.
Power Plant 의 종류.
Power plant는 크게 석탄, 석유를 Fuel 형태의 원료를 사용한 발전 형식과 Eco-Friendly (친환경) 대체 에너지를 사용한 발전 형태로 나눌 수 있습니다. Power plant 는 줄여서 PP로 표기하거나 호칭합니다.
** 발전소의 용량에 따라 Grade 를 정하는데
- IV : 1,000 MW 이상 발전소
- III : 101~999 MW 발전소
- II : 5~100 MW 발전소
- I : 5 MW 이하 살전소
Power plant 종류 (Fuel)
- Steam turbine power plant
- Gas turbine power plant
- Nuclear power plant
Eco-Friendly power plant (친환경 에너지)
- Wind power generator
- Solar energy power plant
- Hydro-electric power plant
- Biomass and gas power plant
1. Steam turbine power plant (증기를 이용한 발전소)

Steam turbine power plant 는 석유나 석탄과 같은 연료를 사용하고 이를 가열하여 물을 끓이고 이때 발생하는 증기를 이용해서 Turbine 을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시설로 Fuel 형태의 가장 대표적인 Power plant 입니다. Steam 발생시키는 Generator 와 Turbine, 사이클의 효율을 올려주기 위한 Condenser 의 주요 Part와 이를 보조해주는 장치인 냉각 탑, Re-heater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Furnace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증기가 Turbine 을 회전시키고 Generator 를 통해서 전기를 생산.
석탄화력발전소는 가장 대표적인 Fuel 형태의 발전소입니다. 원료인 석탄(Coal) 을 석탄 야드에서 벙커로 이동 후 분쇄기를 통해 분쇄 후 부드러운 형태의 파우더로 가공됩니다. 이후 보일러로 이송시켜 Furnace 를 통해 가열되고 발생한 열은 튜브를 통해 보일러를 가열합니다. 이 때 Rankine cycle의 원리가 적용되며 끓는 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된 증기는 터빈을 회전시키는데 사용됩니다. Turbine 을 회전시키고 회수 된 물은 Condenser 를 통해 응축되고 이는 다시 다음 Cycle 에 이용됩니다. 이러한 Closed loop 를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전기를 생산하게 되는 것이지요. 국내의 화력 발전소들이 내륙보다는 바닷가를 중심으로 해안가에 많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왜 그럴까요? 여러 가지 환경적인 요인과 규제조건도 있겠지만 Condenser 라는 응축기를 냉각하는데 사용하는 Cooling source로 해수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2. Gas turbine power plant (가스를 이용한 발전소)
Gas turbine power plant 는 Gases 를 사용하여 turbine 을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 형태를 갖고 있습니다. 주요 구성 요소는 압축기와, 연소기, Gas turbine 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잠깐!
Steam turbine 과 Gas turbine 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스팀 터빈과 가스 터빈 둘 다 Turbine 을 사용하는 것으로 유체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사용한다는 것이 동일합니다. 작동하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며 설계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또 다른 차이점은 Steam turbine 은 Turbine 내의 블레이드를 통해 확장되는 증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Rankine cycle 을 적용하며 Gas turbine 은 가스 에너지가 팽창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를 사용합니다. Brayton cycle 을 적용합니다. 이 두 가지 방식을 모두 적요한 발전소를 Combined cycle plant 입니다. Steam 과 Gas 를 복합 적용하여 전기를 발생하는 발전 형태로 국내에서는 복합화력이라고 호칭하고 국내외적으로 CCPP 라고 표기,호칭합니다.
Rankine cycle (랭킨 사이클)

Brayton cycle (브레이턴 사이클)
3. Nuclear power plant (원자력을 이용한 발전소)
원자력 발전소는 물을 증기로 바꾸기 위해 핵분열을 사용하며 이때 생성된 증기로 Turbine 을 구동시켜 동력을 생산하는 방식입니다.
대표적인 발전소의 종류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국내 발전소 현황과 향후 전망
전 세계적인 전력소비량은 증가하고 있지만, 주요 선진국의 전력소비량은 감소세에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연도별 전력소비량이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하지만 지난 5년간 연 평균 전력소비량 증가율은 2.5% 대로 점차적으로 안정세로 들어갔다고 할 수 있습니다.
국내 발전 비중량은 석탄 40%, 원자력 30%, LNG 22%, 신재생 5% 대로 전체 발전 비율의 70%를 석탄과 원자력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는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에너지산업 확산전략을 발표하고 2029년까지 저탄소 발전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골자로 한 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가장 눈에 띄는 내용은 중장기 에너지 정책에서 신재생 에너지의 비율을 30%까지 끌어 올린다는 내용입니다. 세계적인 흐름에서 본다면 OECD 등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재생에너지에 대한 신규 투자가 점차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반면 중국을 포함 개발도상국은 아직 화력,원자력에 대한 발전 비율이 증가 추세임) 우리나라도 이에 발 맞추어 정책 및 재생에너지 설비 투자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중장기적인 전력수급을 위한 발전소의 신규설비는 전력소비량 증가율에 발맞추며 신규 추가/Revamp를 진행하되 화력, 원자력 중심의 발전 비율을 점차적으로 줄이고 그 공백을 대체에너지로 채워진다는 것을 전망할 수 있습니다.
Inside Insight 였습니다.
'엔지니어링 기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지니어의 정의 그리고 플랜트 엔지니어란? (0) | 2023.11.20 |
---|---|
단열재를 사용하는 이유 5가지 (0) | 2023.11.20 |
플랜트 엔지니어가 알아야 할 계측제어 - 절대압 게이지압 차이 (0) | 2023.11.20 |
기술검증에 필요한 준비사항 & 확인사항 (0) | 2023.11.20 |
프로젝트 계획 및 수립 (0) | 2023.1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