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랜트 엔지니어가 알아야 할
계측제어 - 절대압 게이지압 차이
계측기란 무엇을 말하는 것이며 어떠한 종류가
플랜트 계측제어를 위해 필요한 물리적 측정값은 4가지가 있습니다.
Process Parameters - 4가지
- Pressure measurement (압력 측정)
- Temperature measurement (온도 측정)
- Flow measurement (유량 측정)
- Level measurement (수위 측정)
여기서 잠깐!
계측 제어의 목적 - Instrument and control
안전 (Safety) - 공정 내 이상 징후 사전조치
생산 (Production) - 공정 자동화를 통한 생산관리와 생산성 향상
신뢰성 (Reliability) - 계측 제어를 통한 공정의 신뢰성 확보
경제성 (Economic efficiency) - 공정 자동화를 통한 운전 비용 절감

압력측정은 왜 하는 건가요?
플랜트 공정상에서 공정 변수의 값은 앞서 설명한 것처럼
압력은 어떻게 측정합니까?


- PI-001A : Pressure Indicator (or Gauge)
- PT-001A : Pressure Transmitter


- 압력 측정기의 대표적인 Element 를 예시하였습니다.
압력 측정을 위한 시나리오
계측기와 운전조건
- PI-001A(계측기 관리번호) : Pressure indicator (or Gauge)
- PT-001A(계측기 관리번호) : Pressure transmitter
- Normal Press. : 5.0 bar.g (정상운전 조건)
- Low Press. : 3.5 bar.g
- High Press. 7.5 bar.g
어느 날 Control room 에서 제어 담당 직원이 공정을
압력의 개요
자주 사용하는 압력 단위 : bar, psi, mmhg, kg/cm2
플랜트 엔지니어링에서 사용하는 압력의 종류는 4가지 입니다. (단위는 밑에 설명)
- Gauge, Absolute, Vacuum, Differential
- 게이지 압력 (Gauge pressure) : 대기압을 기준점으로 0 부터 Positive pressure 가 발생할 경우 양압 Negative pressure 일 경우 음압으로 표기합니다.
- 절대압 (Absolute pressure) : 절대 진공을 기준점으로 0 으로 하여 표기합니다.
- 진공압 (Vacuum pressure) : 대기압을 기준점으로 0 부터 음압을 표기 합니다.
- 차압 (Differential pressure) : 압력 차이.
절대압과 게이지압의 차이.
- 절대압(abs.) 을 0(Zero)으로 기준 잡았을 때 압력을 표기해 보겠습니다.
- 뭔진 모르겠지만 우선 대기압과 절대압을 그려 보겠습니다.

- 검정색은 대기압 - Atmospheric pressure - 줄여서 표기할 때 Atm. 입니다.
- 빨간색은 절대압 - Absolute pressure - 줄여서 표기할 때 Abs. 입니다.
- 자 다음으로 과학 시간에 배웠던 수은주를 표기해 보겠습니다.
- 수은주가 760mmHg 인것은 기억나시죠? 수은주는 무엇?
- 진공유리관에 수은을 넣었을 때 수은의 높이가 760mm(76cm) 올라가는 것! Why? 대기압(1 atm.) 을 받고 있기 때문에.

- 수은주를 표기하였습니다. 760mmHg abs. 절대압을 기준으로 대기압까지 올라간 압력 따라서 760 mmHg abs. = 1 atm. 입니다.
- 수은주외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단위인 psi 와 bar 도 표기해 보겠습니다.

- 절대압 760 mmHg abs. = 14.969 psia = 1.013 bara 입니다.
- 여기까지가 Absolute pressure 에 대한 기준이었습니다.
- 다음으로 Gauge pressure 를 그려 보겠습니다.

- 게이지 압은 대기압을 0으로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압력 입니다. 단위 뒤에 "g" 를 붙여 주어야 합니다.
- 따라서 760 mmHg g = 14.969 psig = 1.013 barg입니다.
- 다음으로 대기압, 절대압을 교차했을 때 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 같은 압력 단위인데도 값에 차이가 있습니다. Why? 대기압을 기준점 0(Zero)로 한것인지. 절대압을 기준점 0(Zero) 로 한것이냐에 따른 차이입니다.
- 760 mmHg g = 1,520 mmHg abs.
- 14.969 psig = 29.938 psia.
- 1.013 barg = 2.026 bara.
- 절대압은 주로 진공압력에 대해서 사용합니다. 게이지 압력으로 진공압력을 표기할 수도 있습니다. 어떻게?

- - 760 mmHg g = -14.969 psig = -1.013 bar g 입니다.
- Vacuum pressure 를 표기 해 보겠습니다. 간단합니다. 뒤에 표기를 "V" 붙이면 됩니다.

- 760 mmHg Vac. = 14.969 paiv. = 1.013 barv. 입니다.

- 절대진공 0 = 0.0 mmHg abs. = - 760 mmhg g. = 760 mmHg vac.
- 대기압 = 760 mmHg abs = 0 mmHg g = 0 mmHg vac.
File:MAXIMATOR-High-Pressure-Manometer-01a.jpg - Wikimedia Commons
...
commons.wikimedia.org
0 atm = -14.696 psig = -760 mmHg g = -1.013 bar g
1 atm = 0 psig = 0 mmHg g = 0 bar g
2 atm = 14.696 psig = 760 mmHg g = 1.013 bar g
진공압 기준 (Vacuum pressure)
0 atm = 14.696 psiv = 760 mmhg vac. = 1.013 bar vac.
1 atm = 0 psi vac. = 0 mmHg vac. = 0 bar vac.
2 atm = 진공압은 해당 없음. (Not applicable)
연습 문제)
340 mmHg abs 는 몇 mmHg g 일까요?
sol) 760mmHg abs - 340 mmHg abs = - 420 mmhg g.
240 mmHg vac 은 몇 mmHg abs 일까요?
sol) 760mmHg - 240 mmHg = 520 mmHg abs.
압력의 단위.
1 대기압 ( 1 Atmosphere pressure) 은 다음의 압력 단위와 동일합니다.
- 1 Atm. = 760 Torr = 29.92 inHgA = 14.696 psia. = 1.013 bara = 1,013 mbara

압력의 개요와 절대압, 게이지 압, Vacuum pressure에 대해서 살펴 보았습니다.

그림처럼 10.0 kg/cm2 g 라고 표기하였는데 g 가 없이 10.0 kg/cm2 라고만 표기 되어 있다면 확인하고 넘어가야 합니다. abs. 를 누락한 것인지 vac.를 누락된 것인지 말이지요.
이상 계측제어를 위한 절대압 대기압의차이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 위의 내용에 대해서 궁금한 점은 쥔장에게 메일이나 댓글로 문의 남겨주세요.
블로그 인기글
P&ID 보는 법 공부하는 법
오늘의 궁금한 플랜트 이야기 주제는 "P&ID 보는 법 공부하는 법" 입니다. A. P&ID의 정의 P&ID란 Process Industry를 대표하는 플랜트 산업의 대표적 엔지니어링 도면으로 공정을 구성하는 장치와 Piping, Instruments의 관계(Interrelationship)를 도식화하고 도표화한 것을 말합니다. Piping and Instrumentation diagram 의 줄임말이며, PID라고 읽거나 표기하기도 합니다. 엔지니어링 문서 중에서 중요한 설계 문서로써, 플랜트 엔지니어링의 가장 기초이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잘 아시다시피 P&ID의 일관성 없는 기호와 형식은 혼란스러울 수 있으며 해독 과정에서 잘못된 판단은 P&ID에 포함된 정보를 오해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 P.....
chandleridle.tistory.com
플랜트 길라잡이 3 - 플랜트 주요 용어 정리
플랜트 길라잡이 플랜트 주요 용어 정리 by Inside Insights 플랜트 산업 관련 업무를 진행하는 과정 중 다양한 용어들을 접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FAT, FAC, LOI와 같이 약어를 주로 사용하는데 이 중에서 FAT는 Factory Acceptance Test를 줄여서 사용하는 약어로써 길게 나열된 용어를 간략하게 약어로 표기합니다. FAT 에 대한 설명을 덧붙이면 공장에서 기자재에 대한 납품 전 검사를 실시하는 제품 검사의 하나를 뜻 하는 용어입니다. 이렇듯 현업 에서는 다양한 용어들을 사용하며 자주 접하는 용어들에 대한 내용을 사전에 알고 있다는 것은 보다 생산성 있고 효율적인 업무를 가능토록 합니다. 본문에서는 플랜트 산업 관련 사회 초년생들이 알아야 할 사용 빈도수가 많은 약어들을.....
chandleridle.tistory.com
'엔지니어링 기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열재를 사용하는 이유 5가지 (0) | 2023.11.20 |
---|---|
Power plant 종류와 국내 발전소 현황 그리고 전망 (0) | 2023.11.20 |
기술검증에 필요한 준비사항 & 확인사항 (0) | 2023.11.20 |
프로젝트 계획 및 수립 (0) | 2023.11.20 |
효과적인 산업안전 재해 예방을 위해 우선적으로 취해야 할 1가지 (0) | 2023.1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