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치(회전기계) 의 운전점 (Operation point) 에서의 전력 소모량 kW(HP)
- 회전기계의 대략적인 동력을 확인할 경우
- Engineering data sheet 확인시 동력 값이 예상 치와 오차가 있거나 오류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엔지니어링, 조달, 토목, 건설을 동시에 수행하는 대형 EPC의 경우에는
펌프 축동력 구하는 방법
펌프의 축동력 BHP 를 구하는 공식은 매우 단순 합니다.
- Q = Flow rate (유량)
- TDH = Total Dynamic Head (전양정) - 손실을 감안한 펌프가 퍼 올리는 높이
- S.G = Specific Gravity (비중)
- Eff. = Efficiency (효율)
예를 하나 들어 보면
유량(Q) 가 10 GPM(Gallon per minute) 이고 양정이 10 ft인 펌프가 비중이 1.0인 물을 70%의 효율로 퍼 올릴 때 펌프에 필요한 축동력은?
- Q=10 gpm
- TDH=10ft
- S.G=1.0
- Eff.=0.7 (70%)
따라서 위의 예시로 계산한 펌프는 10 gpm의
위의 간단한 수식을 통해 명확히 확인할 수 있는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유량 값과 양정, 비중이 커질 수록 필요한 축동력의 또한 증가
- 펌프의 효율이 좋을 수록 축동력이 감소
동력 소모량이 작은 소형 펌프의 경우에는 그 차이가
펌프 제조사들이 입찰을 할 때 펌프의 효율을 가지고
펌프의 Efficiency 를 모를 경우 사용하고자 하는

- 위 곡선도의 우측 하단에는 BHP 가 표기 되어 있습니다. 각 20/30/40/50/60 BHP 이를 통해 펌프의 회전 속도와 유량에 의한 동력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1200 rpm 으로 회전하는 펌프가 900 gpm(Gallon per minute) 의 유체를 약 50ft의 TDG값을 갖고 운전하고 있을 때 효율은 약 65%이고 축동력은 20HP 가 필요합니다.
펌프의 축동력을 알고 있다면 모터의 용량을
- bhp = Brake Horse Power
- 0.746= 마력=>kW
- Eff = Motor 효율
일반적으로 모터의 정격용량의 선정은 펌프(회전기계)의
- Centrifugal pump : 1.05
- Fan : 1.05
- Compressor : 1.1
- Positive displacement pump : 1.1

펌프 축동력과 모터를 선정할 때 주의 할 점은
모터는 펌프의 축동력(@Maximum) 에서
Liquid HorsePower Calculation - 190909 업데이트
Liquid HorsePower 는 LHP 의 약어로 표기합니다.
공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사항은 BHP 구하는 공식에서

Type of Motors
- Drive Motor Efficiency : 85%~95%
- Steam Turbine : 42~78%
- Gas Engine : 28~38%
Motor Efficiencies Reference Table
Standard Motor Horse Power Rating
|
Efficiency
|
1
|
80
|
2
|
82
|
3
|
84
|
5
|
85
|
7.5
|
85
|
10
|
85
|
15
|
86
|
20
|
87
|
25
|
88
|
30
|
89
|
40
|
89
|
50
|
89
|
75
|
90
|
100
|
90
|
125
|
90
|
150
|
90
|
200
|
90
|
250
|
90
|
500
|
93
|
600
|
93
|
700
|
93
|
800
|
94
|
900
|
94
|
1000
|
94
|
1250
|
94
|
1500
|
94
|
1750
|
94
|
2000
|
94
|
2250
|
94
|
2500
|
95
|
3000
|
95
|
3500
|
95
|
4000
|
95
|
4500
|
95
|
5000
|
95
|
Inside Insight 였습니다.
블로그 인기글
[32회] P&ID 도면 약어 정리
P&ID보는법 기초 [45회] P&ID 도면 약어 모음 P&ID는 최대한 많은 양의 정보를 담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일환으로 사용 빈도수가 많거나 관행적으로 사용된 여러 용어들을 약어로 도면상에 표기 하는 방법으로 불필요한 공간을 없앨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Restriction Orifice (오리피스) 는 배관 내에서 자주 사용되는 배관 요소중의 하나로 써 줄여서 RO 로 표기합니다. 이러식으로 줄임말을 사용합니다. 도면의 배관이나 기기, 경계선과 같은 모든 구간에서 사용되는데 약어의 원 뜻을 알아야만 P&ID 의 정보를 읽을 수 있습니다. P&ID 약어는 기본적으로 General Abbreviation 과 Utility Service Abbreviation 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Genera.....
chandleridle.tistory.com
P&ID 보는 법 공부하는 법
오늘의 궁금한 플랜트 이야기 주제는 "P&ID 보는 법 공부하는 법" 입니다. A. P&ID의 정의 P&ID란 Process Industry를 대표하는 플랜트 산업의 대표적 엔지니어링 도면으로 공정을 구성하는 장치와 Piping, Instruments의 관계(Interrelationship)를 도식화하고 도표화한 것을 말합니다. Piping and Instrumentation diagram 의 줄임말이며, PID라고 읽거나 표기하기도 합니다. 엔지니어링 문서 중에서 중요한 설계 문서로써, 플랜트 엔지니어링의 가장 기초이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잘 아시다시피 P&ID의 일관성 없는 기호와 형식은 혼란스러울 수 있으며 해독 과정에서 잘못된 판단은 P&ID에 포함된 정보를 오해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 P.....
chandleridle.tistory.com
'엔지니어링 기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터 Enclosure type 7가지 (0) | 2023.11.16 |
---|---|
Plant & Facility Layout (공정, 설비 레이아웃) (0) | 2023.11.16 |
펌프 유량과 팽창계수 관계 (0) | 2023.11.15 |
Once Through Cooling Water - 일회 냉각 방식이란 (0) | 2023.11.15 |
Centrifugal Pump Schedule 작성시 Key Data (0) | 2023.11.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