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por Pressure 는 우리말로 "증기압" 을 말합니다.

증기압(Vapor Pressure)의 정의
증기압은 사전적으로 아래와 같이 정의합니다.
한문으로 표기된 증기압을 풀어서 직역하면
증기압의 단위
증기압은 용어에서 나타난 Pressure 에서 알 수 있듯이 압력 단위를 사용합니다.
- Pa (SI 표준단위)
- bar
- mbar
- mmHg
- inHg
- torr (주로 진공압력을 표기할 때 사용하지만 요즘에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 kg/cm² (오래전에 국내에서 많이 사용한 압력 단위였지만 SI 표준단위계 적용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증기압을 어떻게 하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까요?
Water Vapor Pressure Table
T (oC)
|
Psat (mm Hg)
|
Psat (Pa)
|
0
|
4.4518
|
593.53
|
10
|
9.0477
|
1206.27
|
20
|
17.3623
|
2314.79
|
30
|
31.6701
|
4222.33
|
40
|
55.2254
|
7362.78
|
50
|
92.5113
|
12333.82
|
60
|
149.4990
|
19931.56
|
70
|
233.9089
|
31185.28
|
80
|
355.4605
|
47390.83
|
90
|
526.1027
|
70141.25
|
100
|
760.2143
|
101353.56
|
110
|
1074.7682
|
143290.64
|
120
|
1489.4536
|
198577.48
|
130
|
2026.7527
|
270211.47
|
140
|
2711.9709
|
361566.38
|
145
|
3135.2790
|
418002.82
|
160
|
4641.3583
|
618796.88
|
170
|
6004.4974
|
800533.81
|
180
|
7534.8083
|
1004558.49
|
190
|
9434.4587
|
1257824.38
|
200
|
11689.3016
|
1558445.37
|
210
|
14341.7076
|
1912070.42
|
220
|
17435.7135
|
2324570.62
|
230
|
21016.7699
|
2802005.54
|
240
|
25131.4808
|
3350588.55
|
250
|
29827.3411
|
3976651.76
|
Water Vapor Pressure VS Temperature
위의 테이블을 그래프로 만들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온도가 올라가면 증기압도 올라간다는 것 입니다.

상대적으로 많이 들어본 가스의
Propane(프로판) Vapor Pressure Table
T (oC)
|
Psat (mm Hg)
|
Psat (Pa)
|
0
|
3553.7479
|
473794.08
|
10
|
4761.9051
|
634868.47
|
20
|
6242.9553
|
832325.59
|
30
|
8026.7290
|
1070142.52
|
40
|
10141.6175
|
1352104.46
|
50
|
12614.1841
|
1681752.90
|
60
|
15468.8626
|
2062345.39
|
70
|
18727.7378
|
2496826.35
|
80
|
22410.4016
|
2987807.82
|
90
|
26533.8755
|
3537559.12
|
100
|
31112.5893
|
4148004.09
|
110
|
36158.4086
|
4820724.68
|
120
|
41680.7003
|
5556969.68
|
130
|
47686.4284
|
6357667.58
|
140
|
54180.2736
|
7223442.39
|
145
|
57745.3538
|
7698747.34
|
160
|
68640.4476
|
9151307.04
|
170
|
76916.4490
|
10254683.15
|
180
|
85058.4085
|
11340188.47
|
190
|
93993.1484
|
12531389.16
|
200
|
103404.2958
|
13786105.62
|
210
|
113284.6989
|
15103384.37
|
220
|
123626.1157
|
16482126.55
|
230
|
134419.3494
|
17921106.02
|
240
|
145654.3755
|
19418986.32
|
250
|
157320.4616
|
20974336.54
|
Propane Vapor Pressure VS Temperature

- 물은 30°C 에서 31.67 mmHg 의 증기압을 가지고 있습니다.
- 프로판은 30°C 에서 8026.729 mmHg 의 증기압을 가지고 있습니다.
같은 온도 조건에서 산수로 계산해보면
앞선 그래프를 통해서 확인 하였듯이 증기압은 온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온도가 30° 화창한 어느 날 야외에 나가 그릇에 물을 부어 보겠습니다.

- 물의 증기압은 30 °C 에서 31.67 mmHg 입니다.
- 그리고 표준 대기압은 760 mmHg 입니다. 이 내용을 그림에 표기해 보겠습니다.

- 야외에 나가서 그릇에 물을 채워 넣고 상태를 지켜봤는데 단시간 내에 기체로 변하는 상 변화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 다음으로 물을 끓여서 온도를 100 °C 로 높여 보겠습니다.
- 물은 이 때 증기압이 상승합니다. 라면을 끓여 봐서 알 수 있듯이 물은 보글 보글 끓기 시작합니다.

- 물이 끓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증기압이 상승하고 비점에 도달했기 때문이죠.
- 그림에서 글쓴이가 의도한 것은 녹색의 증기압이 대기압보다 점점 커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위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물은 30도에서 31.67 mmHg 의 증기압을 가지고 있으며 대기압보다(760 mmHg) 작으므로 열적 평형상태 이하로 내려가 상변화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 물의 온도를 100도 이상으로 가열하자 증기압이 대기압인 760 mmHg 보다 상승하여 열적평형상태가 깨어지고 비점에 도달하여 상변화를 일으키게 됩니다.
프로판은 앞서 기술한 것처럼 물보다 증기압이 높습니다.
표준물질인 물이 대기압 상태에서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물론 증발현상을 수반합니다) 대기압 보다
내용정리
증기압이란 열적 평형상태의 액체 표면에 작용하는 압력을 말하며
Inside Insight 였습니다.
블로그 인기글
질소 Purge 란 무엇이며 주요 사용 목적은 무엇일까요?
질소 Purge 란 무엇이며 주요 사용목적은 무엇인가라는 주제를 가지고 포스팅을 진행하겠습니다. 플랜트 산업 관련 엔지니어링 과정 중에 간혹 혹은 자주 듣는 용어가 중에 하나가 바로 Purge입니다. Purge 란 우리말로 제거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요 단어 앞에다가 질소나 Inert gas 단어를 붙여서 하나의 용어로 사용됩니다. N2 purge = 질소 퍼지 Inert gas purge = 불활성 가스 퍼지 Purging의 정의 질소 고유의 특성으로 석유 및 가스, 육상 해상 파이프라인 산업에서 여러 가지 효과적인 용도로 사용합니다. 위험한 상황과 환경에서 건조하고 불황성인 질소는 가동 중지와 시동 작업 전에 여러 가지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 내는 가스입니다. 퍼.....
chandleridle.tistory.com
P&ID 보는 법 공부하는 법
오늘의 궁금한 플랜트 이야기 주제는 "P&ID 보는 법 공부하는 법" 입니다. A. P&ID의 정의 P&ID란 Process Industry를 대표하는 플랜트 산업의 대표적 엔지니어링 도면으로 공정을 구성하는 장치와 Piping, Instruments의 관계(Interrelationship)를 도식화하고 도표화한 것을 말합니다. Piping and Instrumentation diagram 의 줄임말이며, PID라고 읽거나 표기하기도 합니다. 엔지니어링 문서 중에서 중요한 설계 문서로써, 플랜트 엔지니어링의 가장 기초이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잘 아시다시피 P&ID의 일관성 없는 기호와 형식은 혼란스러울 수 있으며 해독 과정에서 잘못된 판단은 P&ID에 포함된 정보를 오해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 P.....
chandleridle.tistory.com
'엔지니어링 기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도(Density)의 정의와 이해 (0) | 2023.11.13 |
---|---|
비중(Specific Gravity)의 정의와 이해 (0) | 2023.11.13 |
탈염공정 (Desalting Process) (0) | 2023.11.13 |
전기의 유형 3가지 (직류,교류) (0) | 2023.11.13 |
Gas Absorber(Stripper) 공정 (0) | 2023.1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