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D 기초 교육자료

[31회] 유체 이송관의 분류

Chandleridle 2023. 10. 20.
반응형
P&ID보는법 기초 

[31회]

유체 이송관의 분류


플랜트 산업에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해서는 이송관이 필요합니다. 공사 유형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나 전체 공사 금액중 5~20% 차지할 정도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이송관은 사용 목적에 따라 그 유형 및 쓰임세에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이송관의 목적은 공정별 유체와 유체의 흐름을 연결하고 특정 목적지로 이송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익히 알고 있는 배관(Pipe) 은 이러한 유체의 이송 목적에 있어 가장 일반적인 유형입니다. 
 
아래 본문에서는 배관 외 특정 목적에 따른 이송관의 유형에 대한 개요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유체란 액체, 기체를 합쳐서 총칭하는 단어입니다. 


 

유체 이송관의 종류

1. Duct (덕트)

  • 낮은 압력의 가스를 이송할 때만 사용합니다. (액체는 사용 못함 X) 
공조 시스템이나 낮은 압력의 가스를 흡기, 배기할 때 도관으로 사용합니다. 액체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만약 덕트 배관 내에 수증기나 습기 성분이 차 있을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누수 현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집진 설비나, 공조 시스템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유체 이송관 의 형식중 하나입니다. 
 

 
2. Hose (호스)

  • 액체, 증기, 가스 사용가능
파이프와 마찬가지로 액체, 증기, 가스의 사용이 가능하나 적은 유량에 적합한 형태입니다. 
 


3. Trench (트렌치)

  • 무해한 유체의 이송에 사용함 (적은 유량의 경우)
 
  • 플랜트 산업에서 트렌치는 아래 그림처럼 설비 주변에 호를 파서 물이 흘러나올 경우 이곳을 통해 배수 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주로 펌프나 Leak 가 많은 곳에 시공하는데 없으면 물바다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 혹은 설비에서 넘쳐 흐르는(over flow) 물을 배수할 때도 사용합니다. 유해한 유체의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4. Channel (찬넬)

  • 무해한 유체의 이송에 사용함 (일반적으로 물)
  • 우리말로 배수로를 뜻 합니다. Trench 는 적은 유량의 이송이 목적이라면 Channel 은 배수 즉 많은 양의 유량을 배수할 때 사용합니다. 



5. Tube (튜브)

  • 액체, 증기(고압), 가스에 사용가능하나 유량이 적을 경우에만 적용
유량이 적은 액체, 증기, 가스 이송관으로 사용하며, Utility air, 공압을 기기에 공급하거나 도압관으로 사용합니다. 
 
 


 
Inside Insights 였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