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ID보는법 기초
[31회]
[31회]
유체 이송관의 분류
플랜트 산업에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해서는 이송관이 필요합니다. 공사 유형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나 전체 공사 금액중 5~20% 차지할 정도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이송관은 사용 목적에 따라 그 유형 및 쓰임세에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이송관의 목적은 공정별 유체와 유체의 흐름을 연결하고 특정 목적지로 이송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익히 알고 있는 배관(Pipe) 은 이러한 유체의 이송 목적에 있어 가장 일반적인 유형입니다.
아래 본문에서는 배관 외 특정 목적에 따른 이송관의 유형에 대한 개요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유체란 액체, 기체를 합쳐서 총칭하는 단어입니다.
*유체란 액체, 기체를 합쳐서 총칭하는 단어입니다.

유체 이송관의 종류
1. Duct (덕트)
- 낮은 압력의 가스를 이송할 때만 사용합니다. (액체는 사용 못함 X)
공조 시스템이나 낮은 압력의 가스를 흡기, 배기할 때 도관으로 사용합니다. 액체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만약 덕트 배관 내에 수증기나 습기 성분이 차 있을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누수 현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집진 설비나, 공조 시스템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유체 이송관 의 형식중 하나입니다.

- 액체, 증기, 가스 사용가능
파이프와 마찬가지로 액체, 증기, 가스의 사용이 가능하나 적은 유량에 적합한 형태입니다.

3. Trench (트렌치)
- 무해한 유체의 이송에 사용함 (적은 유량의 경우)
- 플랜트 산업에서 트렌치는 아래 그림처럼 설비 주변에 호를 파서 물이 흘러나올 경우 이곳을 통해 배수 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주로 펌프나 Leak 가 많은 곳에 시공하는데 없으면 물바다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 혹은 설비에서 넘쳐 흐르는(over flow) 물을 배수할 때도 사용합니다. 유해한 유체의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4. Channel (찬넬)
- 무해한 유체의 이송에 사용함 (일반적으로 물)
- 우리말로 배수로를 뜻 합니다. Trench 는 적은 유량의 이송이 목적이라면 Channel 은 배수 즉 많은 양의 유량을 배수할 때 사용합니다.

5. Tube (튜브)
- 액체, 증기(고압), 가스에 사용가능하나 유량이 적을 경우에만 적용
유량이 적은 액체, 증기, 가스 이송관으로 사용하며, Utility air, 공압을 기기에 공급하거나 도압관으로 사용합니다.

반응형
'P&ID 기초 교육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33회] 공정 전후 도면확인 방법 (0) | 2023.10.20 |
---|---|
[32회] P&ID 도면 약어 정리 (0) | 2023.10.20 |
[30회] 계측 변수의 이해 (0) | 2023.10.20 |
[29회] 계장류 심볼 35가지 설명 (0) | 2023.10.19 |
[28회] 공급범위의 구분 (Scope of supply) (0) | 2023.10.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