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xoH5K/btsArkvtXEg/12lgLKamkBjPkRkFdaWcVK/img.png)
Plant 프로젝트를 대표하는 문서인 P&ID는 각종 장치류와 배관, 전계장 품목을 도식화한 도면입니다. 유심히 살펴보면 배관을 나타내는 선상에 암호 같은 번호가 기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무심코 지나갈 수 있지만 알고 보면 많은 정보가 담겨져 있습니다. 배관과 직접적인 업무의 연관성이 없더라도 알고 있으면 P&ID를 해독하는 데 도움이 될뿐더러 Construction 및 현장 유지보수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Piping Number 의 구성
본격적인 배관 넘버의 구성을 살펴보기 전에 언급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 포함된 Number 의 구성은 글쓴이가 편의를 위해 가상으로 만들어 낸 것입니다. 다시 말해 Piping numbering 은 표준화 된 것이 아니라 공사별로 Piping specification (Number system) 을 통해 규약을 정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터넷에서는 찾고자 하는 배관 넘버관련하여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의 내용은 참고만 하시되 개별 공사별로 Piping number system 항목을 꼭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여기에 배관 넘버를 임의로 하나 작성해 보겠습니다.
1004-8"-C-0019-3B2A
이 배관 Number 에는 8가지의 정보가 담겨 있습니다. 배관 Number 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A) - Unit number 기기 번호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공사별로 틀리기 때문에 기기번호 외, 라인번호를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 (B) - Pipe Size 배관 크기를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8" 배관규격을 표기하였습니다. 배관 규격은 발주처 및 공사별 표기 방식이 다양합니다. DN100으로 표기할 수도 있고 100A로 표기할 수도 있습니다.
- (C) - Service 다루고자 하는 유체의 종류 즉 Service 를 분류하는 정보를 담고있습니다. 몇가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 (D) - Serial Number 중복되지 않게 순차적으로 번호를 부여 합니다.
- (E) - Pressure Rating Class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번호가 1일 경우는 #125, 2는 #150, 3은 #300 입니다.
- (F) - Flange type 입니다. A는 FF, B는 RF, C는 Ring joint 입니다.
- (G) - Identification Number 한 P&ID 상에서 동일 기기가 두 개 있을 때 1,2,3 순으로 분류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H) - Terminal Number 연결되는 구간을 식별하기 위한 번호 입니다.
배관 번호 식별을 위한 규약이 정해졌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임의로 작성한 배관 번호의 정보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1004번 유닛의 8" 배관이며 저압 유틸리티를 이송하는 배관으로 0019번으로 번호가 배정되어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Class or Rating 은 #300 에 R,F 연결에 2번째 번호로 Terminal 번호는 A입니다. 정도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우리가 몰랐던 배관 Number에는 기본적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배관 Numbering 은 유체를 식별하고 Project 수행 및 Construction, O&M 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위의 내용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글쓴이가 편의를 위해 작성한 것입니다. 배관 Numbering 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해당 공사의 배관 Numbering 관련 Specification 을 사전에 꼭 확인해야 한다는 점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Appendix.
Line number codes.
*배관 Numbering 할 때 사용하는 약어 모음입니다.
- A : Process Air
- AC : Acid
- AD : Air and Dust
- AM : Ammonia
- AN : Ammonium Nitrate
- AV : Atmospheric Vent
- BD : Blowdown
- BFW : Boiler Feed water
- CA : Carbamate
- CAN : CAN Product
- CAS : caustic Soda
- CC : Calcium Carbonate
- CD : Carbon Dioxide
- CF : Chemicals
- CFW : Clarified Water
- CHR : Chilled Water Return
- CHS : Chilled Water Supply
- CL : Chlorine
- CS : chemical Sewer
- CWR : Cooling Water Return
- CWS : cooling Water Supply
- DM : Demineralised Water
- DR : Drain
- DW : Drinking Water
- ES : Extraction Steam
- FF : Flushing Fluid
- FG : Fuel Gas
- FO : Fuel Oil
- FW : Fire Water
- H : Hyudrogen
- HA : Hydrochloric Acid
- HPS : High Pressure Steam
- IA : Instrument Air
- LO : Lube Oil
- LPS : Low Pressure Steam
- LLPS : Low Low Pressure Steam
- ME : Methanol
- MPS : Medium Pressure Steam
- MR : Mixed Refrigerant
- N : Nitrogen
- NA : Nitric Acid
- NG : Natural Gas
- OW : Oily Water Sewer
- OX : Oxygen
- P : General Process
- PA : Plant Air
- PC : Process Condensate
- PG : Process Gas
- PR : Polypropylene Refrigerant
- PW : Process Water
- RP : Rock Phosphate
- RS : Reduced LP Steam
- RV : Pressure Relief Device Discharge
- RW : Raw Water
- S : Steam
- SA : Sulfuric Acid
- SC : Steam Condensate
- SG : Synthesis Gas
- SN : Sanitary Sewer
- SO : Seal Oil
- SV : Solvent
- SW : Service Water
- TW : Tempered Water
- US : Urea Melt
- UP : Urea Product
- V : Vent
- VC : Vacuum Condensate
- VE : Vacuum Exhaust
- WO : Wash Oil
- WW : Waste Water
Inside Insight 였습니다.
'엔지니어링 기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벨 계측장치 LG, LS, LT 개요 (0) | 2023.11.16 |
---|---|
배관 Class와 Working pressure (1) | 2023.11.16 |
압력 테스트의 종류 (0) | 2023.11.16 |
열교환기 Design margin 을 두는 이유 (0) | 2023.11.16 |
Thermal Insulation 온도 조건에 따른 ASTM Code 구분 (0) | 2023.1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