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리피스 유량계 원리
오리피스 유량계는 시공 방법이 간단해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유량 측정 방식입니다.
주 원리는 차압을 이용하는데 증기나 액체, 가스의 유량에 사용되며
내구성과 경제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합니다.
상류를 뜻 하는 업스트림(Upstream) 하류를 뜻하는
다운스트림(Downstream) 에 각각의 Tap 을 위치하고
그 중간에 원형에 둥근 구멍이 뚫려 있는 오리피트 판을 설치 합니다.
업스트림에서 발생한 유체의 흐름은 오리피스 판 앞에 접근하면서
판 주위에 소용돌이를 일으킵니다.
이후에 오리피스 판 중앙의 홀 (단면)을 통해 흘러가면서
유체 흐름 단면적의 변화를 일으킵니다.
반응형
다시 말해 유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매체가 오리피스 플레이트 입구와
출구 부분에서 단면적 및 압력의 변화을 일으키며 설치 배관 상부에
나있는 Tap 을 통해 차압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유체는 배관내에서 압력에 따라 유동을 일으키는데 오리피스 구멍보다
큰 면적을 갖고 있던 유체는 오리피스 중앙의 작은 홀을
지나가면서 유체의 속도가 증가합니다.
오리피스 유량계는 중앙의 홀(Hole) 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점성이 높거나 깨끗하지 못한 유체의 사용에는 막힘 현상등 문제를
수반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관련 수식
이러한 차압은 베르누이 방정식 유량에 정비례하며 차압을 표시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유량은 정압과 동압으로 구분하며 이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 업스트림 (정압) = P1
- 다운스트림 (동압) = P2
- 압력차이 △P = P1 - P2
베르누이 수학방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오리피스 플레이트 유형
- Square edge : 사각형 모양의 외형의 중앙에 구멍이 뚫려 있는 형식으로 가스, 저속 증기의 유동 측정에 사용
- Conic Edge : 원뿔형 구멍의 납작한 판 형식으로 레이놀지수 1000 이하에 설계
- 일체형 오리피스 : 압력 태핑과 송신기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오리피스 판으로 배관의 크기가 1/2" 이하의 깨끗한 유체의 측정에 사용
오리피스 기술적 사양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트랜스 미터를 사용하여 아날로그
및 공압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정밀도 범위는 약 ±0.6% 수렴합니다.
측정 액체는 스팀, 액체, 가스 응용분야에 적용할 수 있으며 사용 방법이
간단하고 저 비용, 큰 폭의 유량 Range 를 갖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베타 비율에 따른 업스트림에서의 압력손실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By Inside Insights
반응형
'엔지니어링 기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소 엔지니어링 관련 약어 정리 (0) | 2023.11.01 |
---|---|
수소의 특성 (0) | 2023.11.01 |
방폭구조의 이해와 선정 기준 (0) | 2023.10.31 |
Pipe ends 의 종류 (0) | 2023.10.31 |
압축기 형식 구분표 (0) | 2023.10.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