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레이저 가공과 판금 제작시에 허용 공차는 몇mm 일까요?
판금물은 얇은 박판과 같은 형태의 강철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판재를 절곡하여 형상을 만들어 내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레이저 컷팅이나 샤링기를 이용한 소재의 절단 컷팅
과정전에 전개도를 작성합니다.
절곡물은 사실상 가공 치수의 정도를 요하는 정밀 부품이라
하기에는 다소 거리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판재의 두께가 얇고 소재의 길이방향이
길이가 증가할 수록 오차 범위가 증가하게 됩니다.
절곡물은 케이블 베이어의 브라켓, 센서 거치를 위한
브라켓, 커버등 그 사용 범위가 폭 넓지만 정밀한
가공 정도를 요하는 부품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절곡품(레이저)은 제작도면에 표기할 때도 별도의
다듬질 기호를 표기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치수 공차에 대해도 대부분 표기하지 않는 경우가 허다 합니다.
공차 관리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다는 것은
다시말해 정밀 가공 품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산업에서의 레이저 컷팅 및 판금 공차

위의 그림을 기준으로 레이저 컷팅과 절곡구간의 공차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1번 Laser Cutting 700±0.1mm
- 2번 절곡구간 68.2±0.2mm
- 3번 절곡구간 98.2±0.5mm
이를 정리하면 레이저 컷팅과 절곡물의 일반허용 공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레이저 가공은 허용 공차가 ±0.1mm
- 판금 절곡물의 2번 구간은 컨트롤이 가능하며 허용 공차는 ±0.2mm
- 판금 절곡물의 3번 구간은 컨트롤이 어려우며 허용 공차는 ±0.5mm
위의 3번 구간의 공차 제어가 어려운 부분은
바로 소재의 연신율에 의한 절곡시 변형값을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는데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 각 업체 별로 소재별 연신율
데이타 값을 가지고 있고 개발품의 경우에는
사전에 테스트 목적의 절곡가공을 통해 특정 소재의
연신율 값을 확인 한 후 양산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레이저 가공 및 판금 제작시 허용공차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Inside Insights Encyclopedia
반응형
'기계설계 자료&계산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링 가공 정의와 이해 (0) | 2023.10.28 |
---|---|
마그네틱 베어링이란 (0) | 2023.10.28 |
맞춤핀(Dowel pin)의 정의와 설계기준 (0) | 2023.10.27 |
라이트닝 홀 (lightening hole) - 판금구조 살빼기 (0) | 2023.10.27 |
고노게이지 정의와 이해 (0) | 2023.10.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