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ID보는 법 기초
[54회]
Vent 의 표기방식과 유형
Vent 의 목적은 시스템 내부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기체를 외부로 방출하거나
진공 방지와 같은 기능을 수행합니다.
Vent 라인을 구성하는 방법은 크게 4가지가 있습니다.
- Straight [직선배관]
- T-Pipe [T 배관]
- Elbow [엘보]
- Gooseneck pipe [거위목 모양 배관]
1. Vent 라인의 구성
a. Straight [직선배관]
직선형 Vent 배관은 가장 기본이 되는 유형입니다.
위의 예시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단관을 상부에 배치하는 것으로 Vent 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가장 적은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스크린을 상부에
설치하여도 수직방향으로 떨어지는 이물질의 유입을 100% 방지할 수 없습니다.
또한 실내가 아닌 외부에 설치할 경우 비나 눈 우박이 유입 되기때문에
실내 오염도가 적은 공간외에는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b. T-Pipe [T-배관]
T-type 형식은 양방향으로 Vent 를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가장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적은 형식으로 Vent 양이 충분해야 할 경우에
고려하며 Vent 방향이 수평방향으로 수직방향으로 발생하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c. Elbow [엘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형식입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형식으로 단일 방향으로 Vent 를 하면서 수평 방향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며 T-배관 형식 대비 비용을 낮출수 있습니다.
d. Gooseneck
상부로 기체의 비산을 방지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Gooseneck 형식의 Vent 는 위의 예시와 같이 표기하며 기체의
Vent 방향이 지면을 향하기 때문에 수직방향으로 발생하는
이물질의 유입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또한 유속을 갖고 있는 기체의 Vent 시 발생하는 비산을 어느정도
차단한다는 효과가 있습니다.
다만 유속을 갖고 있는 기체에 액체가 포화상태로 존재한다면
Vent 방향인 지붕에 물방울을 형성하여 바닥에 떨어질 수가 있습니다.
2. Vent 라인의 위치

Vent 라인의 방향성은 안전 구역을 향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겠습니다.
기체가 유속 및 압력을 갖고 있다면 사람의 통행 구역에 배치하면 안 된다는 점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또한 공정이나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곳을 향하게 Vent 를 배치해야 합니다.
3. 외벽 Vent
실내에 설치되는 기기의 Vent 라인 구성은 아래 그림과 같이 외벽 바깥쪽까지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냐하면 유속을 갖고 있는
기체의 Vent 시에는 소음을 발생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를 End point 를 외벽 바깥쪽으로 하여 실내 소음을 저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소음은 기체의 속도와 연관이 있습니다.
배관의 길이가 길어질 수록 배관 내부에서 기체의 마찰 손실로 인해
속도가 낮아지고 이는 소음을 저감하는 효과를 얻게됩니다.

내용정리
위에 기재한 단일 배관 형식은 공기와 같은 비 유독성 기체의 Vent 시에 적용하는
것으로 개인적으로 Gooseneck 을 가장 선호 합니다.
유속을 갖고 있는 기체 내부에 습증기나 액체가 포화되어 있는 경우 공기와
함께 물방울 성태로 비산되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별도의 배관을
연결하여 외부의 지정한 안전 구역으로 방출하거나 바닥면의
배수로까지 배관을 연결해서 배출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Inside Insights
반응형
'P&ID 기초 교육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55회] 보조밸브를 설치하는 이유 (1) | 2023.11.03 |
---|---|
[53회] Overflow line 이해 (0) | 2023.10.21 |
[52회] Nozzle location의 이해 (0) | 2023.10.21 |
[51회] Vent & Drain 이 필요한 이유 (0) | 2023.10.21 |
[50회] 격리 배치의 이해 (0) | 2023.10.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