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플랜트 산업에서 가장 핵심적인 engineering 문서를 이야기해 보라고 한다면 글쓴이는 P&ID (Piping and instrument diagram) 를 가장 먼저 이야기할 것입니다.
Plant를 건설하는 초기 단계부터 시운전, turn over, 상업 운전 및 유지보수 모든 과정에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으며 플랜트라고 하는 거대한 덩어리안에서 때로는 지도와 같은 역할을 하기도 하고 전체 공정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하기 위해서는 P&ID 가 필수적으로 필요합니다. 이처럼 P&ID 는 플랜트 산업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맡고 있는 Engineering document 이지만 이와 관련된 책들을 찾아보기 힘든 이유가 왜 그런지에 대해서는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P&ID에 대한 공통된 분모인 몇 가지 CODE (대표적으로 ISA Code) 를 제외하고는 Open 된 자료를 찾아보기가 힘든데 여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먼저 플랜트 산업에서 사용되는 P&ID는 성격 자체가 대외비 자료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외부인이 볼 수 없는 환경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P&ID에 대한 공통된 분모인 몇 가지 CODE (대표적으로 ISA Code) 를 제외하고는 Open 된 자료를 찾아보기가 힘든데 여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먼저 플랜트 산업에서 사용되는 P&ID는 성격 자체가 대외비 자료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외부인이 볼 수 없는 환경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EPC 나 Process 회사의 경우 자체적으로 방대한 P&ID 를 보유하고 있지만 이를 외부로 공개하기는 쉽지 않은 일입니다. 왜냐면 P&ID 는 해당 회사의 기술력이 포함된 영업 비밀에 해당하기 때문이죠.
두 번째로는 실용성에 있습니다.
두 번째로는 실용성에 있습니다.
P&ID 라는 것은 레고를 조립하듯 그때그때 상황에 맞게 각 요소요소를 조합해서 그려내는 것인데 그 범위가 방대하다는 것이 함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무슨 얘기냐면 P&ID 자체를 규율하고 표현하는 방식 자체가 산업별로, 회사별로, 국가별로 프로젝트별로, 회사별로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와 미국의 사용하는 단위에 차이가 있듯이 P&ID도 이를 도식화 하는 과정과 공정별 구성요소 등 표현 방법 및 기준에 차이가 있습니다.
음식을 만드는 공정에 사용되는 장치류의 P&ID 와, 석유를 생산하는 공정에 사용되는 장치류의 P&ID 역시 표현 방식에 차이가 있다는 점만 보더라도 P&ID의 목적이 하나라 하지만 그 과정에 있어서 표현 방식이나 규율, Code 를 공통분모로 통합하는 데는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의 광대함이나 실용성 등의 문제로 인해 책으로 만드는 것 자체가 과연 얼마나 효과를 가지고 그 의미를 알고자 하는 이에게 전달할 수 있을 것 인가라는 문제에 봉착되게 됩니다.
EPC와 같이 풍부한 자원과 교육환경을 갖추고 있는 조직에서는 다양한 P&ID 를 보고 배우고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있지만, Package 와 같이 단일 장비(Equipment) 를 생산하는 Sub-vendor 의 경우 그 범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다양한 P&ID 를 접할 기회가 많지 않습니다.
P&ID 작업은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
EPC와 같이 풍부한 자원과 교육환경을 갖추고 있는 조직에서는 다양한 P&ID 를 보고 배우고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있지만, Package 와 같이 단일 장비(Equipment) 를 생산하는 Sub-vendor 의 경우 그 범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다양한 P&ID 를 접할 기회가 많지 않습니다.
P&ID 작업은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
- 이미 그려진 것을 해독하는 것
- 이미 그려진 것에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것
- 기존에 없는 완전 새로운 것을 그려내는 것
현장에서 접하는 많은 P&ID 들은 이미 개발되었거나 실적을 가지고 있는 것들이 대부분입니다.
두 번째로 이미 그려진 것에 추가/삭제하는 것을 Modification 이라 하며 그때그때 상황에 맞게 P&ID 를 수정하여 그려내는 것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예가 Revamp (개선) 공사에 사용되는 P&ID 라 할 수 있겠네요. 기존에 사용하던 라인을 변경하거나 제어 관련 게이지를 추가/삭제하는 과정 등이 모두 이 범주에 포함됩니다. 세 번째로 완전히 새로운 공정에 대한 P&ID 를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합니다.
도면상에 레고 조립하듯이 요소요소를 배치하고 선을 이용해서 연결하는 과정, 제어 관련된 Instruments를 배치하는 과정 그리고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배관을 연결해서 공정을 이루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플랜트 관련 산업에 종사하면서 완전히 새로운 P&ID 를 그리는 일은 개발부서가 아닌 이상 아마도 경험하기 힘든 일에 속합니다.
플랜트 관련 산업에 종사하면서 완전히 새로운 P&ID 를 그리는 일은 개발부서가 아닌 이상 아마도 경험하기 힘든 일에 속합니다.
By Inside Insight
반응형
'P&ID 기초 교육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회] Symbol & Legends 차이가 있는 이유 (0) | 2023.10.19 |
---|---|
[21회] 배관 계통도가 중요한 이유 (1) | 2023.10.19 |
[19회] P&ID 계기류 약어 모음 (0) | 2023.10.19 |
[18회] P&ID 해독하기 Kettle Reboiler (0) | 2023.10.19 |
[17회] Symbol & Legends 밸브라인 설명과 이해 (0) | 2023.10.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