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교환기는 플랜트 산업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Stationary equipment 의 하나로 공정및 기기에서 특정 유체의 열전달을 목적으로 제작된 장치를 총칭하는 단어 입니다. 열교환기의 주요 형식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요?
- Shell & Tube type Heat exchanger
- Plate type heat exchanger
- Air-cooled heat exchanger
앞선 사진과 그림을 통해 열교환기의 형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간략히 특징과 장단점을 살펴보면 Shell & Tube 는 책으로 치면 밀리언셀러 입니다. 열교환기 하면 Shell & Tube type heat exchanger 를 가장 먼저 떠올리게 됩니다. 거의 모든 플랜트 산업에 쓰인다고 보면 될 가장 보편화 되어 있는 열교환기 형식의 하나입니다. Air cooled condenser 는 Cold source (냉각매개체)를 공기를 사용한다는 방식에서 다른 두 가지 형식과는 차이점을 갖고 있습니다. 특징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은 공기를 사용한다는 점으로 인해 냉각 Source로 물을 사용하기 어려운 내륙지방이나 열 낙차가 크지 않은 곳에 사용합니다. 대기 온도에 따라 성능 (Performance) 에 차이가 있습니다. 판형 열교환기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크기가 작고 여러 이점을 갖고 있으나 뻘이나 진흙 같은 무기물이 포함되어 있는 유체를 Cold source로 사용하는 공정에서 막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전열면적의 저하로 인해 Maintance period (정비주기) 가 짧고 소모품을 항시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열교환기의 주요 Code & Standard
열교환기를 대표하는 Code & Standards 는 무엇일까요? 바로 테마(TEMA) 코드입니다.
- TEMA-Tubular Exchanger Manufacturer Association
열교환기를 입문하는 분이라면 반드시 거쳐가야 하는 코스 입니다. 테마 코드는 크게 3가지 Class 로 나뉩니다.
- TEMA Class R - Refinery Severe service environments
- TEMA Class C - Generally moderate service environments
- TEMA Class B - Chemical process industry
Class를 세 단어로 구분하면 엄격한, 일반적인, 화학공정 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화학공장에서는 TEMA Class B 가 적용되는 것이지요. Class 별 특징적인 차이점은 Corrosion allowance, Shell Thickness, Bolt size 등이 다릅니다. R 클래스의 경우 부식 허용률이 1/8 inch 인 반면에 C,B 클래스는 1/16inch 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Carbon steel 의 경우) 이러한 내용을 기초적으로 업무에 참조하시면 될 것 같고요. TEMA 외에도 HEI (Heat Exchanger Institute)란 Code 가 있습니다. 이는 주로 발전분야에서 플랜트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며 프로젝트의 열교환 장치 기본 스펙으로 적용하는 곳이 많습니다. TEMA 에서 다루지 못하는 기술적인 부분, Condenser나 Air Cooled Heat exchanger 에 대한 Performance 에 대한 설계 기준을 기술하고 있습니다. 열교환기를 공부하고 싶거나 현업에서 열교환기 설계 직무를 막 시작했거나 열교환기에 대해서 궁금하면 무엇? TEMA Code 가 시작점 이라는 것 기억해야 합니다. 여기까지가 열교환기에 대한 개요였습니다.
열교환기 구분 기준
플랜트 현업에서 자주 사용되는 장치류들 중에 열교환기 관련 장치를 구분하는 호칭들이 많습니다. Condenser(콘덴서), Cooler(쿨러), Chiller(칠러-냉각기), Evaporator (증발기), Reboiler (리보일러), Steam Generator(증기발생기) 어디선가 한번쯤은 들어본 장치류 일수 있습니다. 이러한 장치류를 분류하고 호칭하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다 똑같은 열교환기 아닌가요? 이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서는 열교환기의 주요 기능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주요 기능 몇가지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기능이 결국에는 호칭이고 열교환기의 주요 기능을 뜻합는 것이지요.
- 컨덴서 - Condenser : 한글로는 응축기라고 호칭합니다. 특정 유체를 응축하기 위한 공정에서 사용하는데 대표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전기를 통과한 스팀을 응축시킬 때 사용하는 Surface condenser 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엄청난 양의 스팀을 차가운 유체가 갖고 있는 온도에 의해서 체적 변화를 통해 회수 합니다.
- 냉각기 - Chiller : 열교환 Source 로 냉매를 사용해서 유체의 온도를 낮추는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구성 및 목적에 따라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Compressor 와 Condenser, 증발기, 압축기 등이 시스템의 한 부분으로 포함될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되어 있는 영상에 자세하게 설명 되어 있습니다. Chilled water(냉수) 가 필요한 공정이나 기기에 사용하기 위한 설비 입니다.
- 리보일러 - Reboiler : 리보일러에 대한 설명은 "홈에서 검색 - P&ID 해독하기 Kettle Reboiler"를 참조 해주세요.
- 스팀 발생기 - Steam Generator : 물의 끓는 점을 이용해서 스팀을 발생.
이러한 주요 기능 외 히터, 증발기 또한 열교환기의 주요 기능안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각기 다른 개별 장치류로 구분하지만 그에 앞서 열교환기라는 범주안에 주요 기능으로 분류된다는 점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열교환기 파트 명칭
열교환기 파트별 명칭 <그림 열교환기 파트 기준>
- Stationary Head-Channel
- Stationary Head-Bonnet
- Stationary Head Flange-Channel or Bonnet
- Channel Cover
- Stationary Head Nozzle
- Stationary Tubesheet
- Tubes
- Shell
- Shell cover
- Shell flange-Stationary Head End
- Shell Flange-Rear Head End
- Shell Nozzle
- Shell Cover flange
- Expansion Joint
- Floating Tubesheet
- Floating Head Cover
- Floating Head Cover Flange
- Floating Head Backing Device
- Split Shear Ring
- Slip-on Backing Flange
- Floating Head Cover-External
- Floating Tubesheet Skirt
- Packing Box
- Packing
- Packing Gland
- Lantern Ring
- Tie-rods and Spacers
- Transverse Baffles or Support Plates
- Impingement Plate
- Longitudinal Baffle
- Pass Partition
- Vent Connection
- Drain Connection
- Instrument Connection
- Support Saddle
- Lifting Lug
- Support Bracket
- Weir
- Liquid Level Connection
Heat Exchanger Engineering Rules
1. 열교환기 방정식의 경우, Q = UAF(LMTD)는 LMTD 보정 계수에 대한 차트를 사용할 수 없을 때 F = 0.9를 사용한다.
2.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튜브는 길이가 16 ft(4.9 m)인 삼각형 간격 1에서 외경 3/4 인치(1.9 cm)이다.
3. 1 ft(30 cm) 쉘은 약 100 ft2(9.3 m2)를 함유한다.
2 ft(60 cm) 쉘은 약 400 ft2(37.2 m2)를 포함함
3 ft(90 cm) 쉘은 약 1100 ft2(102 m2)를 함유한다.
4. 관내 대표적인 속도는 액체의 경우 3-10ft/s(1-3m/s)이고 가스의 경우 30-100ft/s(9-30m/s)여야 한다.
5. 부식, 파울링, 스케일링 또는 고압 상태에서 흐르는 흐름은 대개 튜브에 위치한다.
6. 압력강하는 기화시 약 1.5psi(0.1bar), 기타 서비스의 경우 3-10psi(0.2-0.68bar)
7. 쉘 및 튜브 교환기의 최소 접근 온도는 유체의 경우 약 20 0F(10 0C), 냉매의 경우 약 10 0F(5 0C)이다.
8. 냉각탑 물은 일반적으로 최대 온도 90 0F(30 0C)에서 사용 가능하며, 115 0F(45 0C) 이하의 주탑으로 돌려보내야 한다.
9. 이중관 열교환기는 100 - 200 ft2(9.3-18.6 m2) 범위의 경우 적합할 수 있다.
Inside Insight 였습니다.
포스팅 내용은 글쓴이의 편향적인 생각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Feedback 이나 함께 했으면 하는 재미난 주제를 qusinside@gmail.com 으로 부탁드립니다.
'엔지니어링 기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볼트의 갈바닉 부식과 예방 방법 (Galvanic Corrosion prevent method) (0) | 2023.11.17 |
---|---|
로타리 밸브의 원리와 용도 (0) | 2023.11.17 |
Material properties 를 분류하는 기준 (0) | 2023.11.17 |
액화질소 냉동 방법 (LN2 to GN2 Cooling Methods) (0) | 2023.11.17 |
원심펌프 진공펌프 콤프레셔(에어펌프) 차이점 (0) | 2023.1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