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변식 면적 유량계는 영문으로 Variable Area Flowmeter 로 표기하고 편의상 로타미터(rota-meter)로 호칭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유량 측정계로써 내부 구성은 매우 간단한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원형 튜브 모양의 관 안에 플로트라고 하는 둥둥 떠다니는 부유체가 있고 이 부유체가 기체의 양에 따라 관 내부에서 상승하고 하강하면서 스케일(눈금)을 지시하며 이를 통해 기체의 양을 가늠하는 원리 입니다. 부유체는 일반적으로 원뿔형 형태를 띠고 있으나 유리 튜브 내에서 단순한 형태의 공모양에서 피스톤 모양까지 다양합니다. 피스톤 타입은 고압에서 동작할 수 있습니다.
관내부에 기체의 흐름이 없을 때는 플로트가 바닥면에 정지상태에서 눈금 0을 가리키게 됩니다. 가변식 면적 유량계는 다른 유량 측정 장치에 비해 비교적 저렴하고 크기가 작다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가변식 면적 유량계의 일반적인 응용분야와 스펙은 다음과 같습니다.
- 증기를 포함한 액체나 기체, 공기
- 설계 압력 범위 : 0~25 Mpa
- 설계 온도 범위 : 0~400 Deg.C
- 유량 범위 : 0.4~2400 m³/hr
- 정밀도 : ±0.5%~±1.0%
- Range ability : 20:1
가변식 면적 유량계는 플로트를 제외하고 움직임이 있는 부품이 없으며 수증기를 포함한 유체의 측정에 적합한 형식의 유량계 입니다. 설치 방법은 직선 배관을 필요로 하며 배압이 없는 곳에서의 유량을 측정합니다.
사용상에 주의해야 할 점은 유리로 된 튜브관을 사용할 경우 자주 깨집니다. 기자재 설치하면서 깨지고 밟고 다니면서 깨지고 배송중에 깨지고 단단한 물체에 부딛혀 깨지고 정말 잘 깨집니다. 그리고 또 오래 사용하면 내부에 스케일이 껴서 잘 안보입니다. 가까이서 봐야 보입니다. 습식 펌프의 토출부에 사용하여 펌프의 토출량을 측정할 때 맥동이 발생할 경우 플로트도 상-하로 바쁘게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맥동과 같이 불규칙한 유체의 유동성 흐름이 발생할 경우 제대로 눈금을 읽을 수가 없는데 이럴때는 맥동에 의한 상한점과 하한점을 스케일에 마킹하여 이에 대한 평균치로 읽는 경우도 있습니다.
맥동이나 간헐적인 유체의 흐름에 있어서는 측정 정밀도를 높일수가 없는 이유가 사람이 시각적으로 눈금을 확인해야 하는데 불규칙적인 유체의 흐름은 플로트를 잠깐 들었다 놨다 하기 때문에 제대로 된 측정을 할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가변식 면적 유량계는 다른 유량 측정계와 비교하여 가격적인 매력이 있으며 유체의 흐름이 일정한 곳에서는 측정의 유효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Inside Insights (By Chandler)
반응형
'엔지니어링 기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폐용기 내부 출입시 사전 준비사항 (0) | 2023.11.05 |
---|---|
ASME 플랜지 규격 치수 (0) | 2023.11.04 |
압력을 받는 Shell 용접 제작 치수공차 (0) | 2023.11.04 |
ASTM A105 규격이란 무엇일까? (0) | 2023.11.04 |
Plate valve 작동원리 (0) | 2023.1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