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산업일꾼 기계공학 진로와 직업

Chandleridle 2023. 10. 17.
반응형
기계공학

 

진로 및 직업 가이드 (2) 회


산업 전반에 필요한 기계와 관련된 엔지니어를 양성하는 학문이 기계공학입니다. 엔지니어링, 설계, 구조해석, 자동차, 플랜트, 반도체, 우주항공, 제조업 등 기계의 "" 냄새만 나도 취업의 가능성을 높여주는 취업계의 효자 학문 기계공학의 진로와 직업을 살펴보겠습니다. 대한민국에서 기계공학의 취업률은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왜 그럴까요? 대한민국 경제를 견인하는 대표적인 산업분야 4가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죠.

  • 반도체
  • 자동차
  • 석유화학
  • 선박 (플랜트)
첨단기술집약적 산업에 우수한 기술력으로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대표 산업이면서 직접/간접 고용인원이 가장 많은 분야이기도 하죠. 취업 목표점이 뚜렷하지 않은 기계공학 공돌이도 한 번쯤은 고민해 보았을 법한 산업 분야입니다.

"엄마 나 삼송전자 최종 합격했어!"
"야 나 현재자동차 연구원으로 합격했다"
"고객이 KO 할 때 까지 ok 입사를 축하해"
"현대대공업 입사를 환영합니다"

대한민국 경제발전을 위해 뛰는 대표 산업들 비난을 많이 먹기도 하지만 역설적으로 가장 가고 싶어 하는 분야이기도 합니다. 전체 고용시장의 채용규모 대비 관련 산업의 대기업의 직접 고용인원은 중소기업 대비 많지 않기 때문에 누구나 대기업을 꿈 꾸지만 때로는 다른 곳을 바라 보아야 하는 현실과 타협해야 할 때도 오기 마련입니다. 대기업의 취업 문턱은 여러가지 요소들이 있죠 이름만 대면 알법한 명문대학을 졸업하고 자격증이나 취업을 위한 개인적인 여러 노력들. 취업에 관해서 본인이 희망한 직종에 기업에 들어가는 것 만큼 좋은 것이 어디 있을까요



대기업에 문턱을 넘어서지 못했다고 해서 낙담할 필요는 업습니다.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자동차 기업 현대의 경우 직접 고용인원이 68,810(2018년9월기준) 이며 1차 밴더를 포함하면 약 40만명 정도가 있으며 그외 기반 산업에 근로하는 인원을 모두 포함하면 직간접 고용인원이 약 2백만 정도가 있습니다. 다시 말해 차근 차근 준비하고 커리어 관리 잘 해서 관련 업계의 최고봉 자리로 올라 갈 수 있다는 희망을 갖고 노력하면 분명 길이 있으리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기업 분류를 아래 그림과 같이 표기할 수 있습니다.
  • 대기업 > 중견기업 & 외국계 기업 > 중소기업
대기업이라는 정상에 바로 올라갈 수 있으면 더할 나위 없이 좋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별로 경력을 쌓아서 올라갈 수 있습니다. 중소기업 ➥ 중견기업 & 외국계 기업 ➥ 대기업 순으로 말이죠. 대기업에서 중견/중소 기업으로의 취업은 수월하지만 반대로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의 직장변경이 쉽지가 않습니다. 취업 시장이 조금 웃긴 게 그들만의 리그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외국계에서 경력을 오래 쌓았다면 중견 기업이나 대기업으로 갈 확률이 중소기업에서 근무할 때 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습니다. 경력직의 취업을 알선하는 헤드헌터 들도 이러한 점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습니다. 물론 자기 노력이라는 대전제 하에 여건은 개선될 수 있지만, 대한민국의 현실이 그렇더라는 말입니다. 핵심은 출발점을 어디로 할 것인가 목표점이 정해졌다면 집중하고 그에 맞추어 필요한 경력과 자기계발 노력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자 다시 제목의 주제로 돌아와서 기계공학이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요?
  • 기계 공학 (echanical Engineering) : 엔지니어링이란 특정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과정속에서 필요한 분야를 연구하는 것으로 기계 공학에서는 주로 기계, 장치 관련 설계, 제작, 운전 등의 응용분야에 대한 기초적인 학문을 다루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일부분에 국한되지 않고 기계를 다루는 모든 산업 반도체, 자동차, 플랜트, 석유화학공장 등 과 연관성이 있습니다. 






기계 공학하면 연상되는 사진을 몇 개 올려 보겠습니다.

자동차 엔진

제작도면

터빈이나 항공기 엔진도 있고

 

이것은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기계💀


공돌이라면 3D CAD 하나쯤은 다뤄주는 센스도 필요하고요

 

구조설계나 사진과 같은 기구설계도 합니다.

산업 전반에 걸친 산업장비를 설계하기도 하고요

 
대학교 때 배웠던 역학도 가끔 써주고요.
 

 

사진은 기계공학 진로 직업에 연상되는 극히 일부분의 사진을 나열해 보았습니다. 사진과 그림을 통해 느낌 같은 느낌으로 알 수 있듯이 무언가 기계를 설계하고 연구하고 역학을 사용하기도 하는 일을 한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기계공학 이처럼 기계나 역학밀접한 관련성이 있지만 진로와 직종의 선택 폭은 굉장히 넓습니다. 기계공학도 분야별로 그 정도의 차이가 있으나 특수 분야나 보다 역학, 연구를 위한 엔지니어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학위 (4년제 대학) 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모든 이공계 학문이 그렇듯이 역학에 중점을 둔 분야에서 근무하기 위해서는 학사 이상의 학위를 요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기계공학은 이공계 중에서도 가장 보편화 되어 있는 학문이지만 직업을 선택함에 있어서 기계 분야에 대한 적성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기계공학 엔지니어의 연간 예상 수입

1. 연간 예상 수입 (신입) : 3200만원~3500만원
2. 연간 예상 수입 (경력) : 4500만원~


기계공학 엔지니어가 하는 일

기계공학 엔지니어는 산업 전반에 걸친 기계의 설계, 제작, 테스트, 재료의 분석 등 모든 분야에 활용할 수 있으며 프로젝트의 기술적 평가와 검토 제작, 공정 설계, 기계 구성품의 Layout 설계, 자동차 부품 설계의 개발에도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엔지니어링 업무 수행
  • 기구물 엔진, 기계의 설계 (CAD, 제도)
  • 기계장치의 설치, 유지보수 및 작동의 관리 감독
  • 플랜트 산업분야의 보일러 기계 장치의 P&ID, 설계도 해독 및 엔지니어링 업무
  • 고객 설계 제안서 분석 및 평가 
  • 설계 항목에 대한 연구, 평가, 성능검토
  • 공학적 원리가 필요한 특정 분야에 문제 해결 방안의 제시
  • 구조설계 및 해석
  • 기계 장치류 시스템의 타당성 운영 성능을 테스트 분석
  • 개발 일정 수입 및 제조방법의 연구와 적용
  • 장치류 및 개발 품목의 자재 명세서 작성
  • 현장 Operator, Drafter와 협업 or 관리
  • 역학 계산서 작성
  • 기계공학 관련 기술표준 및 기준 작성
  • 장치류의 유지보수 요구사항 목록표 작성 및 관리
  • 개발품의 평가 및 테스트의 실행
  • 기술 보고서 작성





항공우주공학 요소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기계공학은 산업 전반의 기계 관련 과학을 근간으로 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역학에 대한 지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때로는 국한되지 않은 분야에서의 새로운 지식을 보유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재료역학
  • 열역학
  • 유체역학
  • 기계설계
  • 기계제도
  • 동역학
  • 기계공작법


대한민국 기계공학과 관련 대학교 확인하기

대한민국의 관련 개설대학을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보세요.

 


취업 분야

기계공학은 크게 반도체,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플랜트 산업 분야에 속해 있는 기계 및 장비의 엔지니어링 설계, 제조, 생산과 관련된 업체나 기계직 공무원, 연구원으로 취업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내용에 국한되지 않고 관련 산업 고용시장에서 근무할 수 있으며 품질관리, 생산관리, 기계 관련 기술이 필요한 영업 (기술영업) 분야에도 취업할 수 있습니다.

관련 기업체

  • 반도체 관련 장비 생산업체
  • 자동차 관련 장비 생산업체
  • 선박 제조관련 생산업체
  • 석유화학 관련 생산업체
  • 산업용 장비 생산업체 (프레스, 공작기계, 컨베이어)
  • 플랜트 산업 관련 제조업체 (엔지니어링, 설비 설계)
  • 수처리 산업 관련 제조업체
  • 일반 제조업 관련 업체
  • 정부 및 공공기관 기술직 공무원
  • 그 외 기계장치 관련 기업체
  • 냉동공조 관련 기업체
 

관련 직업

  • 생산관리
  • 생산기술
  • 기구설계
  • 기계설계
  • Application Engineer
  • Mechanical Engineer
  • QA Engineer
  • 항공정비사
  • 설계지원
  • 설계기술
  • 제품개발
  • 금형설계
  • 자재관리
  • 품질관리
  • 품질보증
  • 원가관리
  • 원자력
  • 해양공학
  • 냉동공조
  • 로봇공학, 자동화 제어





관련 자격증 정보

기사 & 기술사

  • 기계설계기사
  • 기계생산관리
  • 기계구조해석설계
  • 공기냉동기계산업기사
  • 기계기술사
  • 일반기계기사
  • 기계설계제도사



Mechanical Engineer Job Description (190826 추가)

국내 취업 포털에서도 Mechanical Engineer 라는 포지션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국외 기업 즉 외국계 기업에서 사용하는 Job position 으로 국외에 본사가 있는 경우 회사 정책에 의해 한국에서도 동일한 포지션명으로 모집을 하게 됩니다.

Job Description 이라는 항목이 나오는데 이를 직역하면 직무설명이라 합니다. 대부분의 외국계 기업 모집 요강의 Job Description 은 외국어(주로 영어) 로 되어 있습니다.Job description 의 내용을 몇 가지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Design mechanical components and system that needs and requirements


      - 요구사항 및 필요에 의한 기계요소 및 시스템을 설계

  • Prepare Product reports and documentation


      - 제품 보고서와 관련 문서의 준비

  • Estimate budget and scope of supply


      - 예산 예측 및 공급범위의 확인

  • Hand on experience with CAD and CAE, Analysis tools


      - CAD, CAE, 분석 툴의 실무 경력

  • Technical Writing skills


      - 기술문서의 작성 스킬

외국계 기업의 경우 보고서의 형태가 국내 기업에서 다루는 양식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보고서 양식은 MS Word를 사용합니다. 무엇보다도 보고서의 언어를 영어를 사용하는 회사가 많다 보니 기본적인 작문 실력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외국어가 능통한 것이 아니라 기본적인 작문 실력을 가지고 있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적응할 수 있는 부분이므로 처음부터 부담을 가질 필요가 없습니다.

마무으리

기계공학은 산업 전반의 기계 및 장치류 관련 기초 지식을 배우고 대한민국의 경우 주요 산업체와 관련성이 깊어 취업 선택의 폭이 넓습니다. 한 곳에 국한돼있지 않고 반도체, 자동차, 플랜트, 석유화학, 수처리, 장치산업, 금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요로 하고 인력시장의 수요 또한 꾸준하여 안정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기구 설계 분야로도 진출이 가능합니다. 이때 도면에 대한 이해도와 공장 자동화 Factory Automation (FA) 에 대해 관심이 많을 경우 추천합니다. 반도체, 자동차, 기타 자동 생산이 필요한 산업 전반에 걸쳐 기구물을 설계하고 제작하는 일을 할 수 있습니다. 어찌보면 기구 설계가 설계(Design) 의 꽃이라 할 수 있습니다.

Inside Insight였습니다.

본 포스팅은 일부 자료를 수집하고 공부하여 객관적으로 작성하려 노력하였더라도 개인 블로그이므로 편향적인 내용이 더러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Feedback 이나 수정사항 추가적인 내용은 댓글이나 qusinside@gmail.com 으로 올려주시면 적극 반영하겠습니다.

 

INSIDE INSIGHTS ENCYCLOPEDIA
반응형

댓글